Saturday, July 31, 2010

Thoughts on Tinkering Toward Utopia

Tinkering Toward Utopia
David Tyack and Larry Cuban (1995)

I want to do my big Korean research paper on education in Korea and more specifically the relation between / issue of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In Korea, even "private" schools have a level of government control not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public" schools. It's a bit more complicated, but anyway in Korea private education usually means hagwons, private "academies" that students go to after normal school hours and on weekends. I work at one. It's a lot harder for me to read about education in Korean, so I thought I'd take a look at this English book on education in the US as a sort of background preparation.

I've had the book for a while. Before I came to Korea I worked teaching math in a public high school in New York (Manhattan, Harlem). I was with a program called Math for America and this book was recommended to me, if I recall correctly, by Jon, sort of the head admin, at that time, of New York City MfA operations. Anyway, I could be wrong, but either way I heard of the book a long time ago, got it through paperbookswap.com when I was still in the US, and had been meaning to read it for a long time.

The reason I'm writing this now is not to write a review of the book. It's mostly to process some of my thoughts, more so than even record them. This is a habit from some of my schooling, particularly the Bard Writing and Thinking program, but also more recently prompted by the last book I read in English, How to Live on 24 Hours a Day. Despite the time-management theme, it recommends that one devote time in equal measure to reading and reflection on what has been read. This strikes me as a very good idea, and while I was not able to do so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whole book (HtLo24HaD recommended half reading half thinking in every three hour block, if I recall correctly), I will make up for it in some part by writing something now.

Especially since writing a paper on it during my Master of Arts in Teaching program at Bard, I've been interested in pinning down the ultimate goals of education. At some point the question may be inseparable from the ultimate goal of human life, which is famously difficult to agree on as well, but anyway I read the book with an eye toward seeing what goals people have talked about.

Thinking of my Korean paper, I was also looking for mention of private versus public education and any comparisons or interactions. There really wasn't much on this topic, and for the most part I felt like the authors chose to ignore the existence and importance of private education in the US. Or, maybe I just exaggerate this importance, having myself gone to private schools from kindergarten through high school. Anyway, private schooling was largely ignored in the book.

One notable exception was the "case study" about kindergartens. The first fun thing was finding out that originally "kindergartners" referred to the teachers - which makes sense, if you think of them as gardeners of children. But kindergartens started out as private institutions. Some few were for the rich, I think, but mostly they were outreach things that people would offer for poor kids, something like an early "Head Start" program (this was late 19th century or so, I think). They made it seem like it was sort of a popular community service thing for sophisticated ladies who wanted to help poor kids in the inner city.

But it started as a private thing, but was later absorbed into the public apparatus. It sounded like many most or all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were "bought up" by public school systems, where they evolved and became a regular part of the school sequence. I thought public buy-out thing was interesting, and maybe the only bit of the book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possible future of hagwons in Korea. Could they eventually be bought up by the government somehow? Would the society approve of a public school schedule that has students at school some 12 hours a day?

I guess one of the big questions for my paper is Why are there hagwons in Korea, as there aren't in the US or many other countries, it seems...

The authors seems acceptably fair in their factual portrayals, but there is not doubt in their tone that they identify as progressive, probably constructivist, anti-standardized test, etc. They miss no opportunities to identify groups they disagree with as "elites" and often also note they are white and associated with business. The kinds of multicultural, anti-discriminatory thinking that they seems keen on are things that I tend to agree with myself in large part, but it doesn't seem to help their arguments.

I guess the central example could be that teaching for "excellence" and using tests to measure achievement is somehow racist, because it ignores cultural differences. If this means it isn't fair to make everybody take tests where the right answer is that white people are good and black people are bad, then I agree, that's racist. But if the argument is basically that some cultures value literacy and some don't, therefore it isn't fair to have all students take a reading test, I can't go along with it. If a goal of school is literacy (and here goals are important again, naturally) then every student has to be literate to succeed.

I have been exposed to a lot of stuff about the evils of standardized testing, and I agree in places, but I have yet to see a better way of assessing achievement fairly and to high standards. And the more I teach and live, it seems that achievement hardly ever happens if there is not some fairly objective assessment coming. Projects and papers also motivate work and are important for high-order thinking and all of this, but the problem with papers and projects is that you can do them without knowing anything and without learning anything. You can BS and avoid difficulty if you so choose. The differences in people's projects, presentations, etc. are so huge. Some people take it as an opportunity to learn and learn a lot by doing projects, but some people just don't. And when they're done, it's really hard to judge projects etc. fairly, not to mention efficiently. How can you really decide the difference between a passing project and a failing project? Or does everyone just necessarily pass, even if they've done nothing or next-to-nothing?

In one of the book's case-studies they talked about schools that gave a lot more free time - in one school students had a third of their time at school free for "study hall" (a term not used by the authors) meeting with teachers, working independently, etc. And there was another school from the same project, I think, doing similar things and also using much more student-centered progressive curricula. And the result was that it didn't work very well. The students felt lost and behavior was bad. This meshes very well with my experience.

Ah, another one was The Dalton Plan (or some name like that) in which every student had an individualized study plan, revised and reviewed at month intervals. The pinnacle of what people were just calling individualized instruction at my school, just doing special things for some students; maybe more similar to the individual academic plans for special ed students now. Anyway, they talked in the book about these individual plans, and they sounded really great, and then they got around to the fact that even at the founder's school, the original proponents of this system, the original plan only lasted one year. Why? It did NOT motivate students, and results were bad. Students actually said it was BORING, compared to classroom instruction.

I've just had this thought, and maybe it's been said, maybe I've even heard it before, but it seems to me this could be my quote of the day:

"The problem with constructivist education is that students are not good architects."

If you want to be generous you could say "... not always good architects".

And this kind of idea seems to apply particularly to students that come from homes are not particularly academically-cultured: in the school programs designed by progressive educators who want to help multicultural and/or disadvantaged students, they end further disadvantaged by the lack of guidance.

A big idea from the book is "the grammar of schooling" which they take to mean "the normal way schools in the US are, with different grades, teachers in classrooms, and certain standard credits that students need to graduate high school and go on to college (specifically classes that meet five times a week in math, english, etc.)". They mostly argue that it exists and persists as a social construct, while neglecting what might be another possible explanation: it exists because it works.

Another thing from the book that I identified with is something the authors identified as as one of the downfalls of reforms from the grammar of schooling: that they make way too much work for teachers.

Teachers have an almost impossibly difficult task just going through the day, teaching perhaps 150 students every day. Asking them to add curriculum design work on top of just teaching is draining, and asking them to invent new pedagogy and curricula while collaborating with other teachers in meetings, individualizing instruction to all their students, and still teaching all those students every day... I don't think it's possible. I don't think it's fair. And I'll repeat my conviction after getting my Masters in Teaching, working in a public school in NYC, and working as an English teacher in Korea:

Classroom teaching and curriculum design are two different full-time jobs.

I think to maximize progress in education what is really needed is production of excellent lessons (and the associated materials) that teachers can use and optimize in their classrooms. It would be a standard curriculum, yes, and if there were set lessons for every hour of every day of a student's time in school from the first time they walk into a school building to their high school graduation ceremony, I think it would be a boon. There is quite enough difficulty in the work of teaching without having to come up with what to teach every day.

The other problem with reforms that the authors include is what they call "intramuralism", which I guess they're using to mean insider-ism or exclusion of community interests, parents, etc. They seem to imply that if everybody was on board the reforms could work great (aside from giving teachers way too much work, of course). To me, it seems like they're trying their best to avoid saying the obvious: the reforms did not lead to students learning everything they had to. They were just not effective. If the reforms had worked great, the community would have been on board.

The thing I do really agree with from the book is it's constant insistence that teachers are important and that teachers need to be on board if reforms are going to work. Put differently, reforms only exist in as much as teachers take them into their classroom practice. I think this is key, and I think it's related deeply to the this-reform-is-ten-times-more-work-than-the-old-way issue.

Finally getting to the issue of goals of education: like in most things I see, the issue is mostly ignored. It is mentioned here and their, most commonly alluded to as if "the goals of education" are obvious and understood. The authors criticize test scores as a bad goal of education, but of course test scores are just an intermediary measuring tool and not a goal in themselves. What goal's achievement are they trying to measure? I can see at least three just in tests themselves:

* knowledge ("Do you know who was president in 1892? DO YOU? It's important that you KNOW.")
* cognitive skills ("If I tell you this, can you figure out what the answer must be? CAN YOU? It's important that you CAN.") (Are these skills general ability, or just learned routines, etc., is an interesting question in itself...)
* work ethic ("Did you work hard for years to do well on this test? DID YOU? It's important that you DID/CAN work this hard for a sustained period.")

In the book, they list on page 136 three goals that might be the goals of schooling: intellectual, civic, and social development. Maybe this is a useful categorization? I'm not sure. I want to get out my old paper from grad school.


Other related quotes:
"educational goals are often diffuse"
"little agreement exists among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bout just what effective teaching is and how to measure it"
is it this? "opportunities to discover their vocational aptitudes and interests"
"life adjustment"
"mental training"
"honing intelligence for its own sake"
"preparing students for careers in a complex and interdependent society"

Thursday, July 29, 2010

6급 5과 1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5과 1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29일


5과 1항 문법 1

-는/은/ㄴ 셈치고

가: 죽는 사람을 살리는 셈치고 한 번만 데이트해 주세요!
나: 싫다니까!

가: 친구가 무언가를 가르쳐 줬다면서?
나: 어, 틀린 셈치고 친구의 방법을 해 봤는데 역시 안 된 거야.


5과 1항 문법 2

-으련만/련만

가: 할머니, 만원만...
나: 어이그, 돈이 있으면 주련만 할머니도 우리 강아지에게 줄 돈 한 풍도 없구나.

가: 이번 선거는 누가 이겼죠?
나: 김윤호가 이겼으면 좋았으련만 그 또 다른 놈이 이겼다.



쌤 검사 후:


5과 1항 문법 1

-는/은/ㄴ 셈치고

가: 죽어 가는 사람을 살리는 셈치고 한 번만 데이트해 주세요!
나: 싫다니까!

가: 친구가 무언가를 가르쳐 줬다면서?
나: 어, 틀릴 셈치고 친구의 방법으로 해 봤는데 역시 안 되는 거였어.


5과 1항 문법 2

-으련만/련만

가: 할머니, 만원만...
나: 어이그, 돈이 있으면 주련만 할머니도 우리 강아지에게 줄 돈이 한 푼도 없구나.

가: 이번 선거는 누가 이겼죠?
나: 김윤호가 이겼으면 좋았으련만 또 다른 놈이 이겼다.

Wednesday, July 28, 2010

6급 5과 1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5과 1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28일


5과 1항 대화

1) 티를 내다
가: 빈 티를 내지 않게 노력했지만 결국 돈이 있는 척하지 못했다.
나: 자신이 없어도 없는 티 내지 마.

2) 초경량
가: 요즘 나오는 스마트폰들은 초경량이 아니지만 기능이 좋아서 날개 돋친 듯이 팔리고 있다.
나: 훈련할 때 초경량 운동화를 신고 하지 말고 무거운 것을 신고 해서 더 강해질 것이오.

3) 강도
가: 단거리 선수는 강도 높은 훈련을 자주 잠깐씩 한단다.
나: 싼 게 비지떡이라고 값이 싸면 실의 강도도 낮을 가능성이 높다.

4) 방지하다
가: 컨닝을 방지하기 위해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쭉 지켜보고 계셨다.
나: 북한 핵무기 발달을 방지해야 된다고 대통령이 말씀했다.

5) 안간힘을 쓰다
가: 이번 경기를 이기려면 우리 팀 선수들이 다 안간힘을 써야겠다.
나: 중간 시험에서 떨어졌는데 안간힘을 쓰면 기말고사를 잘 볼 수도 있겠다.

6) 산물
가: 과학의 산물이 다 무기에 불과하면 왜 화학을 하겠습니까?
나: 이년후에 오바마 대통령의 노력의 산물이 평화와 번영이라고 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7) 빙산의 일각
가: 나도 그 얘기를 들었는데 그건 빙산의 일각일 뿐이거든!
나: 배를 타고 있을 때 빙산의 일각만 볼 수 있으면 사고날 수 있다.

8) 낱낱이
가: 그 사람의 불평들을 낱낱이 듣고 싶지 않는다.
나: 경찰이 사건을 본 사람들을 낱낱이 조사했다.

9) 최적
가: 지금은 최적의 상태가 아니니까 좀 미루면 안 돼요?
나: 최적지를 찾아서 저희 공장이 건설되었습니다.

10) 재현하다
가: 범인을 찾기 위해 경찰이 현장을 재현했다.
나: 이번 주말에 외로우신 노인들이 남북 전쟁 재현을 할 건데 가 볼래?

11) 가상
가: 세계 평화를 강사할 수 있어?
나: 반대 팀 말씀도 일리가 있지만 이런 경우를 가상해 봅시다.
다: 엄마 이 게임은 그냥 가상 공간에서 하는 거잖아, 진짜는 아니야!

12) 제패하다
가: 근래 세상이 달라져서 그런지 한 사람이 전체 문학계를 제패하지 못하게 된 것 같다.
나: 그 사람이 훌륭한 체력에다가 날마다 7시간 훈련하므로 이번 오림픽에서 세계 수영계를 제패했다.

13) 선천적
가: 선천적이냐 후천적이냐에 대해서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나: 나는 선천적인 재능이 있다고 노력을 안 해도 된다고 해서는 실패하는 법이다.

14) 밑바탕
가: 성공하려면 성공의 밑바탕이 노력이라고 믿는다.
나: 이런 생각은 흥미롭지만 밑바탕은 뭔가요?



쌤 검사 후:


5과 1항 대화

1) 티를 내다
가: 빈 티를 내지 않게 노력했지만 결국 돈이 있는 척하지 못했다.
나: 자신이 없어도 없는 티 내지 마.

2) 초경량
가: 요즘 나오는 스마트폰들은 초경량이 아니지만 기능이 좋아서 날개 돋친 듯이 팔리고 있다.
나: 훈련할 때 초경량 운동화를 신고 하지 말고 무거운 것을 신고 해서 더 강해질 것이오.

3) 강도
가: 단거리 선수는 강도 높은 훈련을 자주 잠깐씩 한단다.
나: 싼 게 비지떡이라고 값이 싸면 실의 강도도 낮을 가능성이 높다.

4) 방지하다
가: 컨닝을 방지하기 위해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쭉 지켜보고 계셨다.
나: 북한 핵무기 개발을 방지해야 된다고 대통령이 말씀했다.

5) 안간힘을 쓰다
안간힘을 써서 이겨 보려고 하다~
가: 이번 경기를 이기려면 우리 팀 선수들이 다 안간힘을 써야할 것이다.
나: 중간 시험에서 떨어져서 그 점수를 만회하느라 안간힘을 쓰는 것 같았다.

6) 산물
가: 과학의 산물이 다 무기에 불과하면 왜 과학을 하겠습니까?
나: 이년후에 오바마 대통령의 노력의 산물이 평화와 번영이라고 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7) 빙산의 일각
가: 나도 그 얘기를 들었는데 그건 빙산의 일각일 뿐이거든!
나: 배를 타고 있을 때 빙산의 일각만 보게 되면 사고날 수 있다.

8) 낱낱이
가: 그 사람의 불평들을 낱낱이 듣고 싶지 않는다.
나: 경찰이 사건을 본 사람들을 낱낱이 조사했다.

9) 최적
가: 지금은 최적의 상태가 아니니까 좀 미루면 안 돼요?
나: 최적지를 찾아서 저희 공장이 건설되었습니다.

10) 재현하다
가: 범인을 찾기 위해 경찰이 현장을 재현했다.
나: 이번 주말에 노인들이 남북 전쟁 재현을 할 건데 가 볼래?

11) 가상
가: 세계 평화를 가상할 수 있어? [?]
나: 반대 팀 말씀도 일리가 있지만 이런 경우를 가상해 봅시다.
다: 엄마 이 게임은 그냥 가상 공간에서 하는 거잖아, 진짜는 아니야!

12) 제패하다
가: 근래 세상이 달라져서 그런지 한 사람이 전체 문학계를 제패하지 못하게 된 것 같다.
나: 그 사람이 훌륭한 체력에다가 날마다 7시간 훈련했으므로 이번 올림픽에서 세계 수영계를 제패했다.

13) 선천적
가: 선천적이냐 후천적이냐에 대해서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나: 자신이 선천적인 재능이 있다고 노력을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해서는 실패하는 법이다.

14) 밑바탕
가: 성공하려면 성공의 밑바탕이 노력이라고 믿는다.
나: 이런 생각은 흥미롭지만 밑바탕이 뭔가요?

Thursday, July 22, 2010

6급 4과 2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4과 2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21일


4과 2항 대화 2

9) 철저히
가: 이번 신문 기사 발표를 철저히 준비해야겠다.
나: 철저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꼼꼼하게 일을 한다.
다: 연구논문을 위해 철저히 조사해야 될 것이다.

10) 원리 원칙
가: 원리 원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어렵다거나 불가능하다거나 할까 봐서는 미도덕적인 짓을 인정하게 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나: 그 정치인을 지지하는 이유는 원리 원칙대로 명실공히 잘 할 것 같기 때문이다.

11) 확연히
가: 그 남배우는 영화하기 전에 연극으로 연기력이 확연이 좋은 배우로 드러나 왔다.
나: 우주에서 봐도 한반도는 북한과 남한으로 확연히 구분돼 있다.

12) 험난하다
가: 가야 할 길이 험난하지만 정상까지 꼭 가겠다는 각오로 마음을 먹었다.
나: 험난한 인생을 살아가신 끝에 할머니가 평온스럽게 돌아가셨다.


4과 2항 문법 1

-는/은/ㄴ 가운데

가: 우리 아이가 학교 선생님들이 다 지켜보시는 가운데 최고의 발표를 했거든! 자랑스럽고만.
나: 딸이 대단하네요.

가: 바쁘신 가운데 이렇게 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나: 돈을 받으러만 왔는데 뭐.


4과 2항 문법 2

-을/ㄹ 테지만

가: 언제 공항에 갈 거지요?
나: 조카가 지금까지 도착했을 테지만 연락이 올 때까지 기다리면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테니까 기다릴래.

가: 일기 예보 봤냐?
나: 응, 비 올 테지만 집에도 우산 없거든.



쌤 검사 후:


4과 2항 대화 2

9) 철저히
가: 이번 신문 기사 발표를 철저히 준비해야겠다.
나: 철저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꼼꼼하게 일을 한다.
다: 연구논문을 위해 철저히 조사해야 될 것이다.

10) 원리 원칙
가: 원리 원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어렵다거나 불가능하다거나 하는 이유로 비도덕적인 짓을 인정하게 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나: 그 정치인을 지지하는 이유는 원리 원칙대로 공명정대하게 일을 잘 할 것 같기 때문이다.

11) 확연히
가: 그 남자 배우는 영화를 하기 전에 연극계에서 연기력이 확연히 좋은 배우로 알려져 왔다.
나: 우주에서 봐도 한반도는 북한과 남한으로 확연히 구분돼 있다.

12) 험난하다
가: 가야 할 길이 험난하지만 정상까지 꼭 가겠다는 각오로 마음을 단단히 먹었다.
나: 험난한 인생을 살아오신 끝에 할머니가 평온하게 돌아가셨다.


4과 2항 문법 1

-는/은/ㄴ 가운데

가: 우리 아이가 학교 선생님들이 다 지켜보시는 가운데 최고의 발표를 했거든! 자랑스럽구만.
나: 딸이 대단하네요.

가: 바쁘신 가운데 이렇게 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나: 돈을 받으러만 왔는데 뭐.


4과 2항 문법 2

-을/ㄹ 테지만

가: 언제 공항에 갈 거지요?
나: 조카가 지금 도착했을 테지만 연락이 올 때까지 기다리면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테니까 기다릴래.

가: 일기 예보 봤냐?
나: 응, 비가 올 것 같은데 집에도 우산이 없어. 어떡하지.

Tuesday, July 20, 2010

6급 4과 2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4과 2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20일


4과 2항 대화 1

1) 숙명
가: 친구가 죽으면 숙명으로 여기는 게 좋겠어?
나: 대통령이 되는 것은 내 숙명이다.

2) 개방
가: 학원 개방 시간 전에 도차가는 바람에 밖에서 기다리게 됐다.
나: 생각이 개방적이라 착하게 이해해 줬다.
다: 새로운 주식 시장 개방을 위해 투자자들에게 발표했다.

3) 유도하다
가: 변호사가 유도 질문을 한 뒤 재판장이 잔소리를 댔다.
나: 이번 행사를 위해 많은 관심을 유도하려고 신문 광고를 샀다.

4) 포용
가: 어린 아이의 나쁜 행동을 다 포용하면 예의를 못 배운다.
나: 북한을 많이 포용하다가 천한함 사건이 이러났다.

5) 이질화
가: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가 계속하면 어느날 북한국인과 남한국인과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될 것이다.
나: 진화론적으로 따로 살다보면 동물들이 이질화된다.

6) 점진적
가: 힘들어도 점진적으로 노력한다 보면 꼭 효과가 있을 것이다.
나: 문제가 얼마나 크게 보여도 점진적으로 해결할 수 있겠다.

7) 선의
가: 선의의 거짓말이라고 해도 거짓말이다.
나: 사랑해서 그때 선의로 받아들였지만 요즘 생각해 보니까 포용하지 않을 걸 그랬다.

8) 퍼주다
가: 불에 타고 있는 친구에게 물을 퍼주었다.
나: 그렇게 문제에다 돈만 퍼주면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쌤 검사 후:


4과 2항 대화 1

1) 숙명
가: 친구가 죽으면 숙명으로 여기는 게 좋겠어?
나: 대통령이 되는 것은 내 숙명이다.

2) 개방
가: 학원 개방 시간 전에 도착하는 바람에 밖에서 기다리게 됐다.
나: 생각이 개방적이라 너그럽게 이해해 줬다.
다: 새로운 주식 시장 개방을 위해 투자자들에게 발표했다.

3) 유도하다
가: 변호사가 유도 질문을 한 뒤 재판장이 경고를 주었다.
나: 이번 행사를 위해 많은 관심을 유도하려고 신문 광고를 실었다.

4) 포용
가: 어린 아이의 나쁜 행동을 다 포용하면 예의를 못 배운다.
나: 북한을 많이 포용하다가 천한함 사건이 일어났다.

5) 이질화
가: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가 계속되면 어느날 북한국인과 남한국인과 서로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듣지 못하게 될 것이다.
나: 진화론적으로 따로 살다보면 동물들이 이질화된다.

6) 점진적
가: 힘들어도 점진적으로 노력하다 보면 꼭 효과가 있을 것이다.
나: 문제가 아주 크게 보여도 점진적으로 해결할 수 있겠다.

7) 선의
가: 선의의 거짓말이라고 해도 거짓말이다.
나: 사랑해서 그때 선의로 받아들였지만 요즘 생각해 보니까 포용하지 않을 걸 그랬다.

8) 퍼주다
가: 불에 타고 있는 친구에게 물을 퍼주었다.
나: 그렇게 돈만 퍼준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Monday, July 19, 2010

6급 4과 1항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4과 1항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19일


4과 1항 대화

1) 선거유세
가: 지루한다거나 실제가 못될 공약만 있는 것이라거나 많은 사람들이 선거 유세를 안 보았다.
나: 한국에는 정당이 많은데 후보 몇명이 선거 유세를 할 건데요?

2) 비정규직
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고용불안 때문에 노동조합화하고 싶었다.
나: 그 교사는 대학교 비정규직 교사로 일하다가 정규직 교수가 되고 싶어한다.

3) 공공주택
가: 저소득층 사람들을 위해 도시가 공공주택을 마련했다.
나: 미국 공공주택에서는 범죄가 많은 편이다.

4) 보급
가: 아이폰 4가 한국에 보급될 때 하나 살 생각이다.
나: 한국은 인터넷 보급률이 높은 나라라고 들었다.

5) 민생 문제
가: 그 정치인은 민생 문제를 다 무시하고 개인 이익에만 급급해서 그 다음 선거는 낙선이 됐다.
나: 현대의 회사들이 민생 문제에 도움이 되거나 피해가 된다고 생각하세요?


6) 인력
가: 그 정당은 인력이 강하다뿐이지 이념 성향은 나쁘잖아.
나: 경찰관 한명이 그 범을 보니까 연락을 하고 뒷받침할 인력이 올 때까지 조용히 기다렸다.

7) 소속
가: 나는 소속 정당은 없는데 보통 민주당의 후보를 투표한다.
나: 대학교 다닐 때 소속 학과 자주 바꿔서 졸업하는 데 5년이 걸렸다.

8) 보수적이다
가: 한나라당은 보수적인 정당입니다.
나: 우리 부모님도 보수적인 편이신데 나는 진보적인 편이다.

9) 성향
가: 소비 성향이 강해져서 신용 문제가 생기고 있다.
나: 장남들의 성향이나 막내들의 성향 같은 심리적인 것에 대해서 관심이 있다.

10) 학벌
가: 학벌이 좋기는 좋은데 막상 같이 일해 보니까 그 사람은 기여입학제로 그 학교에서 나온 것 같다.
나: 학벌은 나쁘지만 학력이 높으면 괜찮겠지요?

11) 얽매이다
가: 역사를 아는 게 좋은데 너무 과거에 얽매이면 안 된다.
나: 정에 얽매여서 여자 친구랑 못 헤어지고 있다.

12) 본질적이다
가: 뭘 배울 때 나는 본질적인 사실을 알고 싶다.
나: 그 것은 이번의 본질적인 문제는 아니라러 무시하고 너머갑시다.

13) 전개되다
가: 불매운동이 전개되었는데 효과는 하나도 없었다.
나: 캠페인이 전개되면서부터 소비자들이 저희 상품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4과 1항 문법 1

-는다뿐이지/-ㄴ다뿐이지/다뿐이지

가: 여자 친구하고 사귄지 오래 됐는데 결혼을 안 할 거야?
나: 프로포즈만 아직 안 한다뿐이지 내년쯤 결혼할지도 몰라.

가: 그 친구는 시험을 잘 본 거지?
나: 그 사람은 얼굴이 똑똑해 보인다뿐이지 진짜 못 하는 사람이거든.


4과 1항 문법 2

-을/ㄹ 법하다

가: 다녀올게요!
나: 비가 올 법하니까 우산도 가지고 가!

가: 잘 할 법했는데 그 정치인은 아직도 한 것 하나도 없네...
나: 항상 그렇죠.



쌤 검사 후:


4과 1항 대화

1) 선거유세
가: 지루하다거나 현실성이 없는 공약만 있는 것이라거나 해서 많은 사람들이 선거 유세를 안 보았다.
나: 한국에는 정당이 많은데 이번에는 후보 몇명이 선거 유세를 합니까?

2) 비정규직
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고용불안 때문에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싶었다.
나: 그 사람인 대학교 비정규직 강사로 일하다가 정규직 교수가 되고 싶어한다.

3) 공공주택
가: 저소득층을 위해 시에서 공공주택을 마련했다.
나: 미국 공공주택가에서는 범죄가 많이 일어나는 편이다.

4) 보급
가: 아이폰 4가 한국에 보급되면 하나 살 생각이다.
나: 한국은 인터넷 보급률이 높은 나라라고 들었다.

5) 민생 문제
가: 그 정치인은 민생 문제를 다 무시하고 개인의 이익에만 급급해서 그 다음 선거에서 낙선했다.
나: 현대의 기업들이 민생 문제에 도움이 되거나 피해를 준다고 생각하세요?

6) 인력
가: 그 정당은 우수한 인력이 많다뿐이지 이념 성향은 나쁘잖아.
나: 경찰관 한명이 그 용의자를 발견한 후 연락을 하고 지원해 줄 인력이 올 때까지 조용히 기다렸다.

7) 소속
가: 나는 소속 정당은 없는데 보통 민주당의 후보를 투표한다.
나: 대학교 다닐 때 전공을 자주 바꿔서 졸업하는 데 5년이 걸렸다.

8) 보수적이다
가: 한나라당은 보수적인 정당입니다.
나: 우리 부모님도 보수적인 편이신데 나는 진보적인 편이다.

9) 성향
가: 소비 성향이 강해져서 신용 문제가 생기고 있다.
나: 장남들의 성향이나 막내들의 성향 같은 심리적인 것에 대해서 관심이 있다.

10) 학벌
가: 학벌이 좋기는 좋은데 막상 같이 일해 보니까 그 사람은 기여입학제 덕택에 그 학교를 졸업한 것 같다.
나: 학벌은 나쁘지만 학력이 높으면 괜찮겠지요?

11) 얽매이다
가: 역사를 아는 게 좋은데 너무 과거에 얽매이면 안 된다.
나: 정에 얽매여서 여자 친구랑 못 헤어지고 있다.

12) 본질적이다
가: 뭘 배울 때 나는 본질적인 사실을 알고 싶다.
나: 그 것은 이번의 본질적인 문제는 아니라서 무시하고 너머갑시다.

13) 전개되다
가: 불매운동이 전개되었는데 효과는 하나도 없었다.
나: 캠페인이 전개되면서부터 소비자들이 저희 상품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4과 1항 문법 1

-는다뿐이지/-ㄴ다뿐이지/다뿐이지

가: 여자 친구하고 사귄지 오래 됐는데 결혼을 안 할 거야?
나: 프로포즈만 아직 안 했다뿐이지 내년쯤 결혼할지도 몰라.

가: 그 친구는 시험을 잘 본 거지?
나: 그 친구는 얼굴이 똑똑해 보인다뿐이지 진짜 못 하는 사람이거든.


4과 1항 문법 2

-을/ㄹ 법하다

가: 다녀올게요!
나: 비가 올 것 같으니까 우산도 가지고 가!

가: 그 정도 경력의 노유자라면 잘 할 법했는데 그 정치인은 아직도 한 것이 하나도 없네...
나: 항상 그렇죠. (노유자?)

Tuesday, July 13, 2010

6급 3과 2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3과 2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13일


3과 2항 문법 1

아무리 -기로서니

가: 잔돈인데 도대체 왜 엄마가 그렇게 화내셨는지 이해가 안가네...
나: 아무리 잔돈이라고 보기로서니 다른 사람의 돈을 훔치면 돼겠어?

가: 세금내기가 싫으니까 대통령을 죽이자.
나: 아무리 세금을 내기가 싫기로서니 어떻게 대통령을 죽이자고 말할 수가 있어?


3과 2항 문법 2

-은/ㄴ 끝에

가: 어떻게 남편을 만났어요?
나: 4년간 열심히 소개팅을 한 끝에 결혼할 만한 남자를 만나서 빨리 결혼했지요.

가: 이렇게 대단한 생각을 어떻게 해냈어요?
나: 10년 동안 세계를 누비고 다닌 끝에 깨달았습니다.



쌤 검사 후:


3과 2항 문법 1

아무리 -기로서니

가: 잔돈인데 도대체 왜 엄마가 그렇게 화내셨는지 이해가 안가네...
나: 아무리 잔돈이기로서니 다른 사람의 돈을 훔치면 돼겠어?

가: 세금내기가 싫으니까 대통령을 죽이자.
나: 아무리 세금을 내기가 싫기로서니 어떻게 대통령을 죽이자고 말할 수가 있어?


3과 2항 문법 2

-은/ㄴ 끝에

가: 어떻게 남편을 만났어요?
나: 4년간 열심히 소개팅을 한 끝에 결혼할 만한 남자를 만나서 빨리 결혼했지요.

가: 이렇게 대단한 생각을 어떻게 해냈어요?
나: 10년 동안 세계를 누비고 다닌 끝에 깨달은 것입니다.

Monday, July 12, 2010

6급 3과 2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3과 2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12일


3과 2항 대화

1) 심사숙고하다
가: 결혼은 아무리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라고 해도 프로포즈할 때 심사숙고해야겠다는 대답을 남자가 듣고 싶지 않다.
나: 심사숙고한 끝에 연세 어학당에 가기로 했다.
다: 그렇게 심사숙고하고만 있다가는 기회를 놓칠 거야!

2) 불문하다
가: 나이를 불문하고 사고 싶은 대로 살 수 있다는 뜻으로 내 친구가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나: 공포만 빼면 장르를 불문하고 영화보는 게 좋다.
다: 요즘 대부분의 대학교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입학할 수 있다.

3) 여건
가: 우리 사회에서 경제적 여건만 된다면 다 할 수 있나?
나: 요즘 여건이 안 좋아서 그 일을 다 못하겠습니다.
다: 네가 못하면 여건이 되는 사람을 찾아야겠다.

4) 납득이 가다
가: 납득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왜 기여입학제가 좋다고 설명해 주십시오.
나: 잠깐만 잠깐만 잠깐만요... 납득이 안 갑니다.
다: 이해가 아직도 안 가시면 다시 한번 납득시켜 볼게요.

5) 고정관념
가: 한국에서 많은 고정관념이 남아 있는 것 같다.
나: 집에서 떠나고 대학교 시절쯤 고정관념을 깰 수 있는 기회로 삼았다.
다: 그런 보수적인 고정관념들을 쓰레기통에 버리세요!

6) 정
가: 정 죽고 싶으면 왜 자살을 안 해?
나: 여자 친구가 정 가겠다면 나도 같이 갈 거지, 뭐.
다: 정 싫으면, 고통스렵게 계속하느니 차라리 그만두는 것 낫지 안겠소?



쌤 검사 후:


3과 2항 대화

1) 심사숙고하다
가: 결혼은 아무리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라고 해도 프로포즈할 때 심사숙고해야겠다는 대답을 남자가 듣고 싶지 않다.
나: 심사숙고한 끝에 연세 어학당에 가기로 했다.
다: 그렇게 심사숙고하고만 있다가는 기회를 놓칠 거야!

2) 불문하다
가: 나이를 불문하고 살고 싶은 대로 살 수 있다는 뜻으로 내 친구가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나: 공포만 빼면 장르를 불문하고 영화보는 게 좋다.
다: 요즘 대부분의 대학교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입학할 수 있다.

3) 여건
가: 우리 사회에서 경제적 여건만 된다면 하고 싶은 일을 다 할 수 있나?
나: 요즘 여건이 안 좋아서 그 일을 다 못하겠습니다.
다: 네가 못하면 여건이 되는 사람을 찾아야겠다.

4) 납득이 가다
가: 납득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왜 기여입학제가 좋은지 설명해 주십시오.
나: 잠깐만 잠깐만 잠깐만요... 납득이 안 갑니다.
다: 그 사람이 이해를 못 하변 제가 납득 시켜 볼게요.

5) 고정관념
가: 한국에는 많은 고정관념이 남아 있는 것 같다.
나: 집을 떠나 대학교 시절쯤 고정관념을 깰 수 있는 기회로 삼았다.
다: 그런 보수적인 고정관념들을 쓰레기통에 버리세요!

6) 정
가: 정 죽고 싶으면 왜 자살을 안 해?
나: 여자 친구가 정 가겠다면 나도 같이 가는 거지, 뭐.
다: 정 싫으면, 고통스럽게 계속하느니 차라리 그만두는 것 낫지 않겠소?

Sunday, July 11, 2010

6급 3과 1항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3과 1항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11일


3과 1항 대화

1) 인사이동
가: 불경기 때문에 인사이동 발표 났을 때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었다.
나: 이번 인사이동으로 인해 혼란만 생긴 것 같다. 누가 내 상사인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2) 마음을 졸이다
가: 대한민국 팀 감독은 마음 졸이며 아르헨티나 경기를 지켜보았다.
나: 우리 학생들의 합격률 발표가 날 때까지 마음을 졸였다.

3) 병행하다
가: 이기서 교감 선생님은 몇개월동안 병행하셨다.
나: 나는 학업과 일을 병행하고 있다.

4) 동분서주하다
가: 인터뷰 발표 준비하느라 동분서주했었다.
나: 우리 엄마는 많은 자식들을 기르려고 항상 동분서주하신다.

5) 현모양처
가: 우리 어머니는 현모양처시다.
나: 아는 여자들 중에서 여자도 일하는 게 좋다고 하곤 했지만 지금 현모양처가 되는 게 낮다고 하는 여자들이 한두명이 아니다.

6) 각오를 하다
가: 그 놈은 죽어도 이길 각오로 싸웠네.
나: 가난한데도 그 아이는 감히 대학교에 가리라는 각오를 했다.


3과 1항 문법 1

-은/ㄴ 채

가: 눈이 왜 그렇게 빨개졌지?
나: 어젯밤에 렌즈를 낀 채 공부하다가 피곤해서 잠들어 버렸는데 아침에 잠에서 깨 보니 이렀어.

가: 한국사람들이 선풍기 켠 채 잠을 자면 죽는다고들 한다고 들었는데 그 거 사실이에요?
나: 아니에요.


3과 1항 문법 2

-으리라는/리라는

가: 기독교는 어떤 종교예요?
나: 기독교인들이 천국에 가리라는 희망을 하면서 살아요.

가: 앞으로 한미 환율에 대해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나: 한국 원에 비해 달러가 떨어지리라는 예측입니다.



쌤 검사 후:


3과 1항 대화

1) 인사이동
가: 불경기 때문에 인사이동 발표 났을 때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었다.
나: 이번 인사이동으로 인해 혼란만 생긴 것 같다. 누가 내 상사인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2) 마음을 졸이다
가: 대한민국 팀 감독은 마음 졸이며 아르헨티나 경기를 지켜보았다.
나: 우리 학생들의 합격 발표가 날 때까지 마음을 졸였다.

3) 병행하다
가: 이기서 교감 선생님은 몇개월동안 [~와 ~를] 병행하셨다.
나: 나는 학업과 일을 병행하고 있다.

4) 동분서주하다
가: 인터뷰 발표 준비하느라 동분서주했었다.
나: 우리 엄마는 많은 자식들을 기르느라고 항상 동분서주하신다.

5) 현모양처
가: 우리 어머니는 현모양처시다.
나: 아는 여자들 중에서 여자도 일하는 게 좋다고 하곤 했지만 지금 현모양처가 되는 게 낫다고 하는 여자들이 한두명이 아니다.

6) 각오를 하다
가: 그 놈은 죽어도 이길 각오로 싸웠네.
나: 가난한데도 그 아이는 감히 대학교에 가리라는 각오를 했다.


3과 1항 문법 1

-은/ㄴ 채

가: 눈이 왜 그렇게 빨개졌지?
나: 어젯밤에 렌즈를 낀 채 공부하다가 피곤해서 잠들어 버렸는데 아침에 잠에서 깨 보니 이랬어.

가: 한국사람들이 선풍기 켠 채 잠을 자면 죽는다고들 한다고 들었는데 그 거 사실이에요?
나: 아니에요.


3과 1항 문법 2

-으리라는/리라는

가: 기독교는 어떤 종교예요?
나: 기독교인들은 천국에 가리라는 희망을 가지고 살아요.

가: 앞으로 원/다러 환율에 대해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나: 한국 원에 비해 달러가 떨어지리라는 예측하고 있습니다.

Tuesday, July 6, 2010

6급 2과 2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2과 2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6일


2과 2항 문법 1

-으면/면 몰라도

가: 아! 어떡하지? 이걸 진짜 사고 싶다!
나: 야, 부자라면 몰라도 그건 너무 비싸잖아.

가: 그래도, 너무 좋다! 이 봐 봐! 멋있지?
나: 야, 그만 하지. 로또에 당첨되면 몰라도 그 값엔 살만하지 않다고.


2과 2항 문법 2

-겠거니 하고

가: 어제 그 여자한테 고백했냐?
나: 말도 마... 반지 없어 가지고 결혼 안 했거니 했지. 창피만 당했어.

가: 배 고프겠거니 하고 요리했는데 먹을래?
나: 감사합니다, 아주머니!



쌤 검사 후


2과 2항 문법 1

-으면/면 몰라도

가: 아! 어떡하지? 이걸 진짜 사고 싶다!
나: 야, 부자라면 몰라도 그건 너무 비싸잖아.

가: 그래도, 너무 좋다! 이 봐 봐! 멋있지?
나: 야, 그만 하지. 로또에 당첨되면 몰라도 그 값엔 못 사!


2과 2항 문법 2

-겠거니 하고

가: 어제 그 여자한테 고백했냐?
나: 말도 마... 반지 없어 가지고 결혼 안 했겠거니 했지. 창피만 당했어.

가: 배 고프겠거니 하고 준비했는데 먹을래?
나: 감사합니다, 아주머니!

Monday, July 5, 2010

6급 2과 2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2과 2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5일


2과 2항 대화 1

1) 특집
가: 공부의 신이라는 특집 드라마를 봤다.
나: 그 특집 기사는 너무 길어서 안 읽었다.

2) 이윤
가: 100원에 사고 300원에 팔면 200원의 이윤을 남긴다.
나: 이윤이 없는 일인 것 같아서 포기했다.
다: 이윤을 추구하다가 인정을 잃었다.

3) 파견하다
가: 연세 어학당 선생님들 중에서 몇분을 새로 지은 국제캠퍼스로 억지로 파견될 거란 소문을 들었다.
나: 사장님이 싫어하시는 직원을 먼 지사에 파견하셨다.

4) 환원하다
가: 회사마다 사실로 환원하는 일이 적고 "우린 환원한다!는 소리는 많다.
나: 그 부자는 가족이 없어서 돌아가신 뒤 전재산이 사회로 환원됐다.

5) 저소득층
가: 고소득층이 상태가 좋아지면 저소득층도 좋아진다는 거는 부정할래 할 수가 없을 것 같다.
나: 그 성공적인 회사는 저소득층들에게 이윤을 환원을 하려고 교육시설에 투자했다.

6) 급식시설
가: 학교 내에 있는 급식시설에서 점심을 무료로 먹을 수 있다.
나: 지진이 나서 그 지역은 급식시설이 필요한다.

7) 펼치다
가: 원래 계회을 펼쳤던들 이런 일이 안 생겼을 것이다.
나: 새가 날개를 펼치고 하늘로 날아갔다.

8) 바람직하다
가: 수업 수준은 어려워도 할 수 있는 수준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나: 아무래도 그런 말도 안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죠.

9) 공헌하다
가: 한반도의 통일에 공헌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스파이가 대통령을 죽였다.
나: 독립운동에 공헌하셔서 간디가 유명해졌다.

10) 급급하다
가: 먹고살기에만 급급하다가는 가족도 너를 버릴 것이다!
다: 눈앞의 이익에 급급하면 미래를 못본다.

11) 차원
가: 개인적인 차원으로만 생각하면 먹고살기에 급급하는 것이다.
나: 이상한 말을 자꾸 하면 친구들이 4차원이라고 놀린다.



쌤 검사 후:


2과 2항 대화 1

1) 특집
가: 공부의 신이라는 특집 드라마를 봤다.
나: 그 특집 기사는 너무 길어서 안 읽었다.

2) 이윤
가: 100원에 사고 300원에 팔면 200원의 이윤을 남긴다.
나: 이윤이 없는 일인 것 같아서 포기했다.
다: 이윤을 추구하다가 인심을 잃었다.

3) 파견하다
가: 연세 어학당 선생님들 중에서 몇분은 새로 지은 국제캠퍼스로 억지로 파견될 거란 소문을 들었다.
나: 사장님이 싫어하시는 직원을 먼 지사에 파견하셨다.

4) 환원하다
가: 회사마다 실제로 이익을 환원하는 일이 적고 "우린 환원한다!"는 소리는 많다.
나: 그 부자는 가족이 없어서 죽은 뒤 전재산이 사회로 환원됐다.

5) 저소득층
가: 고소득층이 상태가 좋아지면 저소득층도 좋아진다는 것은 부정할래야 부정할 수가 없을 것 같다.
나: 그 성공적인 회사는 저소득층에 이윤을 환원하려고 교육시설에 투자했다.

6) 급식시설
가: 학교 내에 있는 급식시설에서 점심을 무료로 먹을 수 있다.
나: 지진이 나서 그 지역은 급식시설이 필요하다.

7) 펼치다
가: 원래 계획대로 진행했던들 이런 일이 안 생겼을 것이다.
나: 새가 날개를 펼치고 하늘로 날아갔다.

8) 바람직하다
가: 수업 수준은 어려워도 할 수 있는 수준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나: 아무래도 그런 말도 안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죠.

9) 공헌하다
가: 한반도의 통일에 공헌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스파이가 대통령을 죽였다.
나: 독립운동에 공헌한 바가 커서 간디가 유명해졌다.

10) 급급하다
가: 먹고살기에만 급급하다가는 가족도 너를 버릴 것이다!
다: 눈앞의 이익에 급급하면 미래를 못본다.

11) 차원
가: 개인적인 차원으로만 생각하면 먹고살기에 급급하는 것이다.
나: 이상한 말을 자꾸 하면 친구들이 4차원이라고 놀린다.

Friday, July 2, 2010

6급 2과 1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2과 1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2일


2과 1항 대화 2

9) 소각하다
가: 스파이가 비밀 서류를 소각했다.
나: 쓰레기를 소각하다가 숲이 다 태어 버렸는데 소각장에서 했을 걸.

10) 유해 물질
가: 쓰레기를 소각하면 다이옥신 같은 유해 물질이 많이 나올 텐데 다른 방법이 없습니까?
나: 유해 식품은 유해 물질이 많이 들어 있어서 건강에 나쁘기는 하지만 맛있으니까 어쩌지요?

11) 악취
가: 냉장고를 몇개월동안 청소를 안 하한다 보니까 냉장고 문을 열렸을 때 역시 악취가 나왔다.
나: 집 1층은 회 식당이라서 악취에 시달린다.

12) 선정하다
가: 진수는 성격이 좋아서 우리 반이 진수를 반장으로 선정했다.
나: 올림픽 관계자가 런던이 다음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13) 혐오시설
가: 혐오시설이란 교도소과 화장장, 쓰레기 소각장 같은 보통 사람들이 지역이기주의로 싫어하는 시설을 말한단다.
나: 혐오시설이라고 해도 우리 사회에게 필요하지요.


2과 1항 문법 1

-어/아/여 주십사 하고

가: 돈을 다 빨리 주십사 하고 이 은행에 왔습니다.
나: 아주 공손한 도둑이시네요. 우리 돈 다 여기 있어요.

가: 대통령, 외국으로 가 계셔 주십사 하고 오늘 같은 기회를 드리는 거 이번 뿐인데 살고 싶으시면 얼른 가십시오.
나: 난 대통령이다! 총을 낼려라! 명령이다!


2과 1항 문법 2

-었던들/았던들/였던들

가: 어젯밤에 안 놀랐던들 오늘 좀 쉴 수 있었을 텐데.
나: 괜찮을 거야. 이 일만 끄내고 한잔하자.

가: 엄마, 오늘 시험을 잘 못 봤는데 화를 내지 말아 주세요.
나: 이 자식아! 내 말 대로 공부 열심히 했던들 이렇게 실패했겠어? 일주일간 밥은 없음!




선생님 검사 후:

2과 1항 대화 2

9) 소각하다
가: 스파이가 비밀 서류를 소각했다.
나: 쓰레기를 소각하다가 숲을 다 태워 버렸는데, 소각장에서 태울 걸 그랬어요.

10) 유해 물질
가: 쓰레기를 소각하면 다이옥신 같은 유해 물질이 많이 나올 텐데 다른 방법이 없습니까?
나: 유해 식품은 유해 물질이 많이 들어 있어서 건강에 나쁘기는 하지만 맛있는데 어쩌지요?

11) 악취
가: 냉장고를 몇개월동안 청소를 안 하한다 보니까 냉장고 문을 열었을 때 역시 악취가 났다.
나: 지금 사는 집의 1층은 회 식당이라서 악취에 시달린다.

12) 선정하다
가: 진수는 성격이 좋아서 우리 반은 진수를 반장으로 뽑았다.
나: 올림픽 관계자가 런던이 다음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13) 혐오시설
가: 혐오시설이란 교도소와 화장장, 쓰레기 소각장 같은 보통 사람들이 지역이기주의로 싫어하는 시설을 말한단다.
나: 혐오시설이라고 해도 우리 사회에게 필요하지요. [^^]


2과 1항 문법 1

-어/아/여 주십사 하고

가: 돈을 다 빨리 주십사 하고 이 은행에 왔습니다.
나: 아주 공손한 도둑이시네요. 우리 돈 다 여기 있어요.

가: 대통령 각하, 외국으로 가 계셔 주십사 하고 오늘 같은 기회를 드리는 건 이번 뿐인데 살고 싶으시면 얼른 가십시오.
나: 난 대통령이다! 총을 내려라! 명령이다!


2과 1항 문법 2

-었던들/았던들/였던들

가: 어젯밤에 안 놀았던들 오늘 좀 쉴 수 있었을 텐데.
나: 괜찮을 거야. 이 일만 끝내고 한잔하자.

가: 엄마, 오늘 시험을 잘 못 봤는데 화를 내지 말아 주세요.
나: 이 자식아! 내 말 대로 공부 열심히 했던들 이렇게 실패했겠어? 일주일간 밥은 없을 줄 알아!

Thursday, July 1, 2010

6급 2과 1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2과 1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1일


2과 1항 대화 1

1) 공청회
가: 천안함 사건에 대해서 국회 공청회가 열리게 됐다.
나: 공청회를 개최해서 그 지방자치단체가 새로운 교육 시설을 건설하기로 했다.

2) 화장장
가: 어떤 007 영화 내용에서 사람이 화장장에서 싸우다가 화장으로 죽게 됐다.
나: 나치스는 감옥 화장장으로 유명한다.

3) 건립
가: 한국전쟁을 잊지 않도록 많은 기념관이 건립하게 됐다.
나: 밖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피켓을 들고 있고 화장장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

4) 취지
가: 입법의 취지에 어긋난 결과가 효과보다 많아서 법을 바꾸려고 한다고 한다.
나: 어떤 정부 기관이 국민 의견을 알아내려는 취지로 공청회를 열었다.

5) 납골 시설
가: 납골 시설을 볼 때 죽음에 대한 생각이 나는지 사람들이 보기 싫어한다.
나: 미국에서 매장이 보통의 경우라서 납골 시설은 많지 않다.

6) 하필이면
가: 달리기 대회인데 하필 왜 오늘 비가 이렇게 내리고 있나?
나: 하필이면 왜 제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십니까?

7) 유치하다
가: 올림픽 유치하기 위해 운동 시설 건설 계획을 세웠다.
나: 국제 업체를 유치하고 싶어서 정부가 법을 바꾸었다.
다: 그 여자는 남자 친구를 유치하려고 아주 유치한 짓을 짓고 있다.

8) 확충하다
가: 사장님, 인력을 확충하려면 보수를 올려야 한다고 봅니다.
나: 올림픽 유치 경쟁으로 인해 시설이 많이 확충됐다.



선생님 검사 후:

2과 1항 대화 1

1) 공청회
가: 천안함 사건에 대해서 국회 공청회가 열리게 됐다.
나: 공청회를 개최해서 그 지방자치단체가 새로운 교육 시설을 마련하기로 했다.

2) 화장장
가: 어떤 007 영화 내용에서 사람이 화장장에서 싸우다가 화장으로 죽게 됐다.
나: 나치스는 수용소의 유대인들을 가스실에서 죽게 하고 화장한 것으로 악명을 떨쳤다.

3) 건립
가: 한국전쟁을 잊지 않도록 많은 기념관을 건립하게 됐다.
나: 밖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피켓을 들고 있고 화장장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

4) 취지
가: 입법의 취지에 어긋난 결과가 효과보다 많아서 법을 바꾸려고 한다고 한다. [?]
나: 어떤 정부 기관이 국민 의견을 알아내려는 취지로 공청회를 열었다.

5) 납골 시설
가: 납골 시설을 볼 때 죽음에 대한 생각이 나는지 사람들이 보기 싫어한다.
나: 미국에서 보통 매장을 하기 때문에 납골 시설은 많지 않다.

6) 하필이면
가: 달리기 대회날인데 하필 왜 오늘 비가 이렇게 내리고 있나?
나: 하필이면 왜 제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십니까?

7) 유치하다
가: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운동 시설 건설 계획을 세웠다.
나: 국제 업체를 유치하고 싶어서 정부가 법을 바꾸었다.
다: 그 여자는 남자 친구를 유혹하려고 아주 유치한 짓을 하고 있다.

8) 확충하다
가: 사장님, 인력을 확충하려면 보수를 올려야 한다고 봅니다.
나: 올림픽 유치 경쟁으로 인해 시설이 많이 확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