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November 28, 2010

'Imma gonna eat choo!' Zhiwan Cheung: recent paintings

When the sky turns black... why do I feel so blue?

I went to see my friend Chris's art show the other weekend (2010 November 13).  The details are as follows:

Imma gonna eat choo!
Zhiwan Cheung: recent paintings
November 7 - December 31 2010
갤러리뉴욕 Gallery New York
경기도 광명시 철산 3동 426
서림빌딩 3층 광명뉴욕치과
(Just outside Seoul, South Korea)
02-2616-2300 www.lsdclinic.com
mon-fri 9:30-7pm, sat 9:30-4pm, sun & holidays closed

Gallery New York actually shares a floor with the New York Dental Clinic, with the unfortunate LSDclinic.com web address.  They have a good animated map.  The subway stop is 철산역 Cheolsan station, on Seoul subway line 7.

The show is big pictures of kimchi and big pictures of stomachs.  Stomachs with ulcers.

Culture Vultures

These three paragraphs were provided to describe the exhibition.  The English was presented second, but here it is first:

"Eat me" screams a canvas of Kimchi, fermented and bloated to match its cultural importance, and "inflame me" whispers its gastric doppelganger.  Many will take for granted these dialogues of food and body.  In Korea, Kimchi IS the significantly insignificant commodity.  It IS the most important edible cipher in society.  But, it is often relegated to vats as "readily available" and rarely the "specialty."  And, for all its significance - the long fermentation process, the regional varieties, the passionate titular debates over "kimuchi vs. kimchi" - Kimchi is orphaned at the table, jealously eyeing its other side dish cousins get happily eaten.  Nonetheless, Kimchi is constantly consumed on a daily basis, in varying quantities - ambrosia for the tongue and the ultimate workout for the stomach.  The turbulent adventures of our tongues and stomaches continue.  We are entranced.  We are rendered gastronomically catatonic.

And thus, the Internet spews photographic fountains of Kimchi.  The paintings themselves monstrously grin "eat me" and the internal organs mix in an orgy of bloody corporeal colors that seduce one into believing that the qualms of the stomach are nothing but a chimera.  The canvas enlargements are yet just a further representation of how humans consume in mass quantities and to excess and gain malfunctions to the excess.  These paintings glamorize the malfunction and show ulcers in all their grand cadmium rivers - perhaps to parallel the degree to which we have allowed our consumption to have access to our bodies.  And because of this, perhaps, Kimchi is all the more beautiful.  Thoroughly smitten, the stomach has nothing to say but:

Feed me.

How totally banal of you to ask what I really mean

The two kimchi paintings in the main room of the exhibition differ substantially in technique.  The one at the top of this page ("When the sky turns black... why do I feel so blue?") is more refined, with much smoother brushwork.  It is also the piece that was selected for the show's promotional materials.  I really like this one though ("How totally banal of you to ask what I really mean") with its splash of green.

I also really experience visual art through titles and descriptions.  When I go to an art museum I like to see what everything is called, and often the title and description is more fun than the actual piece, for me.  Maybe my art appreciation skills are not finely tuned, maybe my brain is just really text-oriented.

This painting is called "How totally banal of you to ask what I really mean."  While it may just be saying that you should trust the artist's explanation and not second guess it or insist on finding some other meaning, it also reminds me of my sister's standpoint on her art, which is basically total refusal to explain herself.  But whether you provide text hooks for visually impaired folks like me, or only put up the paintings by themselves, modern art is about pushing your head around, as far as I'm concerned.  Art museums are like playgrounds for your brain; a million different things you can mess around with.

Happy be happy

Here's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w explanation:

김치로 꽉 찬 캔버스가 소리지른다, "날 먹어"! 발효로 부풀어 오른 모양이 김치의 사회적 중요성을 서사하는가하면, 위 속의 도플갱어는 "날 불태워버러"라고 귓속말로 속삭인다.  많은 사람들은 음식과 육체 사이에 존재하는 이러한 대화를 간과하곤 한다.  특히 김치는 한국에서 하찮은 상품으로 존재하면서도 중요한 사회적 먹을 수 있는 암호로도 작용한다.  김치는 "어디서도 구할 수 있는" 정도로 격하되고 "특별한 것"이라고 생각되는 경우는 드물다.  긴 숙성을 거쳐 나온 각양각색의 전통 김치는 명목상으론 국제적 이슈가 되기도 하지만 ("김치"라고 표기 할지 "기무치"라고 표기 할지에 대한 논란), 막상 식탁 위에 오르면 다른 반찬들에 비해 소외시되곤 한다.  여전히 우리는 매 식사마다 당연하듯 다양한 양의 김치를 소비하지만, 그것의 육체적 경험, 다시 말해 김치가 몸 속을 통과하면서 혀가 느끼는 암브로시아와 위가 행하는 거친 운동의 경험이 무의식 속 우리를 도취시키고 우리의 미각을 긴장시킨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한다.

인터넷이 김치의 다양한 사진을 뿜어 내는 한편, 나의 김치 페인팅은 "날 먹어" 라며 기괴하게 웃으면서, 내장을 연상시키는 광란의 핏빛 색깔은 뱃속에서 느껴지는 꺼림칙함이 단지 일종의 키메라에 불과하다고 믿게 만든다.  캔버스를 꽉 채운 김치의 클로즈업은 우리의 과소비와 거기서 오는 후유증은 생각하지 못하는 것을 상징한다.  내 작업은 과함의 후유증을 미화하고 궤양의 웅장한 카드뮴 강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양면성 때문에 김치는 더욱 아름다운 것일 수도 있다.  김치의 매력에 철저히 엄습당한 위는 결국 한마디 말 밖에 남아있지 않았다:

"내 배를 채워죠."

Infinite Jest

And these three untitled paintings were in a separate room: one big one which I guess is kimchi, and two little ones that I guess are stomach.  These ones are the hardest to identify, in my opinion.  At first I thought they were all stomach.  Now I think they could all be kimchi.  They're just pictures, really...




The end!

Sunday, November 21, 2010

Translating The Social Network

I finally got to see The Social Network, which was released 2010 October 1 in the US but not until 2010 November 18 here in Korea.  I don't know why there was such a lag.  It's tempting to guess it's for subtitling or something like that, but some other movies have been released on the same day in the US and Korea.  Anyway, let's take a look at the American and Korean posters.

The American poster says "You don't get to 500 million friends without making a few enemies."  The Korean poster says "5억명의 온라인 친구 / 전세계 최연소 억만장자 / 하버드 천재가 창조한 소셜 네트워크 혁명!"

Interestingly, the Korean poster is nothing like a translation of the American poster.  It says, roughly "500 million online friends / The youngest billionaire in the world / The social network revolution that was started by a Harvard genius!"

Especially as I'm working on some subtitling right now, it is interesting to me how different these are.  The American poster focuses on the personal drama that the movie actually tries to deliver, and that American audiences presumably want to see.  The Korean poster emphasizes the financial success and prestigious college association of the lead - explicitly accessing Korea's twin obsessions.  It may also be attempting to provide more background information for a Korean audience that is less familiar with facebook.  But it also totally removes mention of interpersonal conflict, which Korea certainly has but doesn't like to talk about so much in public.



Of course these are just the posters.  Watching the movie I noticed mostly that the subtitles really summarize a lot.  It's like reading an abstract of the film.  It may be particularly the case for The Social Network because a lot of the characters talk really fast, but there was a lot of simplifying between the original script and the subtitles that Korean audiences were reading.  Something I may take into consideration as I write some subtitles.


The movie itself was fun.  I really enjoyed all the references to computer stuff that I used to be into.  It was cool to know what they were talking about with all the "Linux Apache Perl MySQL emacs root" stuff.  I've installed/used/had all those things!  The early scene where Zuckerberg is "hacking" for pictures was pretty fun.  Made hacking/blogging seem pretty neat.  Even though the "hacking" was really just finding quick ways to download photos that were already publicly accessible on the web.

I didn't know that Napster guy had any involvement in Facebook - or that he was played by Justin Timberlake.  Huh.

The movie also kind of made me feel like I should quit doing a normal job and take over the world somehow.  Yeah!  Innovation!  Breaking the mold!  Yeah!

Sunday, November 7, 2010

Logan's Run

So I downloaded and watched this 1976 movie.  I feel like I heard about it somewhere before, and it's kind of similar to a story we teach at ChungDahm.  Like that story, everybody is supposed to die at a certain age, oh my gosh, but there's no good reason for the world of the story to be the way it is.  It just doesn't make much sense.  The movie is fairly crap.  I read the wiki page for the book and the book seems a little bit better.  And it looks like they're working on a new movie version.  Anyway, I can't recommend the 1976 movie.

PBS "The Human Spark"

So the iTunes store started renting nonfiction TV shows and I downloaded and watched PBS's "The Human Spark," a three-part series hosted by Alan Alda, that guy from M*A*S*H.  The show was trying to get at "What is the nature of human uniqueness," which is something I think about a good deal.


Naturally "language" is the biggest answer, but maybe not the only or fundamental one.  One interesting thing was that they linked, as I've seen before but hadn't been thinking about recently, other symbolism and art with the symbolism of language.  So ancient pierced shells used as decorative beads could have been worn symbolically as markers of same-grouped-ness, expanding the cooperative groups of humans beyond immediate family or whatever, allowing for trade, etc.

This reminded me of the Cosmides and Tooby paper "Can race be erased?" that showed that clothing coalitional cues strongly influence people's ideas of group belonging.


Another interesting thing was what one of the scientists on the show said: "I don't think you can separate society from technology."  He was talking about the way society, communication and sharing, spreads technology from the inventor to other users.  And now technology spreads people's social communication etc.  The social network and all that.  An interesting quote.


Another cool thing, which I may have heard before but forgotten about, is this: Dogs understand and follow human pointing, but wolves do not - even if they are raised like dogs.  It seems that the ages of domestication have bread an understanding of pointing into dogs.  Pretty crazy.  It's a kind of symbolization, like beads, language, etc.


Overall, the three shows are a fairly entertaining introduction to a bunch of neat stuff, but necessarily not very comprehensive or anything like that.  And it's a little weird how they try to make Alda some sort of "star" of a documentary.  Whatever.

TMS: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 was a volunteer in several fMRI studies when I was in college.  It's cool to get a picture of your brain, but I think most people know about, if not functional MRI, at least MRI generally as a medical diagnosis tool.

Just exactly once I was a volunteer in a study that used TMS, and I keep thinking that it is so cool and so relatively unknown that I should write something about it.

Not me, but I probably looked pretty similar.

Just as the name says, in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hey use electromagnets outside your head to stimulate brain activity, which is basically electrical, inside your skull.  It's effectively similar to putting an electrode into your brain, without the hassle of cutting your whole head open.  Maybe you've heard of the studies where they stick an electrode into somebody's brain, and he starts to see butterflies and stuff.  It's like that, but without sticking things in.

IT IS BASICALLY TOTAL BRAIN CONTROL and that is pretty cool.

When I did it I didn't see any hallucinations or anything.  They were targeting my motor cortex.  They made my left pinky move, as I recall (this was several years ago).  It doesn't feel unnatural or anything; your pinky just moves, just like if you wanted it to.

So long story short, this is pretty much the coolest thing ever.  The experience dramatically shows the extent to which your body/brain is just a machine.

I guess they use TMS for some medical treatments too. Whatev.  Read the wiki if you want.

Friday, October 22, 2010

Thoughts on 'Program or Be Programmed'

Program or Be Programmed
Douglas Rushkoff

I found this book after following a long trail from Bit Literacy, which I originally had found and read because it was free and featured on the Apple bookstore. Program or Be Programmed was also an opportunity to try using a PDF ebook from an independent publisher in iBooks. Kind of a cool factor there.

I thought this book would be about programming in the television sense of content - "don't just read, write; don't just watch, do," that sort of thing. And it sort of is - but he really means program in the "write computer programs" sense.

Despite the high-tech imperative, Rushkoff advocates more for limiting abuse of technology in ways that decrease quality of life. He is like Bit Literacy's author in emphasizing that people should be conscious of and control how they use technology. He can almost seem anti-technology. His personal example is that he does not use any sort of projected display when he does talks, because he wants to focus on the quality of his real in-person presence. You can watch PowerPoint slides without a person there, after all.

Rushkoff's central programming argument is not ever really all that compelling, but it is kind of interesting. He says that as technology has advanced, the masses have been one level behind the state of the art. So even when writing was invented, most people only listened to things read to them by priests or whatever. When printing was invented, people started to read but not write (or, publish). Now with computers and the Internet, everybody's writing, but still only specialists are programming. Rushkoff thinks programming is important and thinks ordinary people should be doing it too, or at least learning enough to understand it. There's a little bit of a "programming will create the future hive-mind of Homo sapiens neo" thing going on too, but just a touch.

Rushkoff also explains this sort of historic progression with a lot of references to the Jewish people, so that when writing is invented it is with a 22-letter alphabet, etc. Another interesting thing he does is try to connect the nature of monotheism (an "abstract god") to the nature of writing. Laws and so on become really possible with writing. Sort of an interesting observation.

I mostly agree with a lot of what Rushkoff has to say, as far as using technology intelligently, being honest and fair in our dealings with people online and off, etc. I also like that his organization is fairly clear. Even if the whole book is just a list of good recommendations, that much is clear from the table of contents. Here is that table of contents with a few quotes I thought were interesting stuck in the appropriate chapters:

1) Time: Do not be always on
2) Place: Live in person
3) Choice: You may always choose none of the above
4) Complexity: You are never completely right

"We lose sight of the fact that our digital tools are modeling reality, not substituting for it, and mistake its oversimplified contours for the way things should be. By acknowledging the bias of the digital toward a reduction of complexity, we regain the ability to treat its simulations as models occurring in a vacuum rather than accurate depictions of our world."

I think this is not an exclusively digital phenomenon but a pitfall of the scientific worldview generally. Something I think about quite a bit. People tend to think that the model is reality.

5) Scale: One size does not fit all

"Language is an abstraction of the real world, where sounds represent things and actions. It requires a tremendous amount of agreement, so that the same words mean the same thing to different people."

Language is another big problem. People tend to think that words are ideas. Words are just sounds. Like I said, I agree with a lot of this Rushkoff guy's stuff.

It's also in this chapter that Rushkoff mentions Walter Benjamin, a German philosopher who wrote a well-known essay on art and photography. I was interested so I found it and read it and was a little disappointed that it didn't totally live up to the expectations I had based on Rushkoff's interpretation. I wrote some thoughts on it.

6) Identity: Be yourself
7) Social: Do not sell your friends

"It turned out, content is not king - contact is. And so what we now call 'social media' was born."

I remember that "content is king" thing, from when people wanted their web sites to be popular even though there was nothing on the site. "Content is king" explained why nobody went to those sites - there was nothing to see. But I agree with Rushkoff that the real draw of the Internet, most of the time, is socialization, communication with friends, "connection." People really go for that stuff.

8) Fact: Tell the truth
9) Openness: Share, don't steal
10) Purpose: Program or be programmed

Honestly the weakest part of the whole book is it's titular assertion about programming. I'm all for computer literacy, not being an idiot, etc., but I don't see a compelling argument behind this one, and exactly what he means isn't all that clear either. Is it enough just to understand how computers are programmed an be a wary consumer? Do I have to write every line of code on all my machines? I've done more programming than the average bloke, but I don't do it now and I don't use anything I ever coded myself. Am I okay, by Rushkoff's rules? I'm not sure. I think I'm okay, regardless. It's a book with a lot of advice I agree with, and it dovetails nicely with Bit Literacy, for a technology life stance that seems reasonable to me. Good stuff. Still not sure about the meaning of life though.


UPDATE / LINKS

The book was based on a talk, which is interesting to me in terms of how the book originated. Also, the talk has the main kernel of the book really, at least the part related to the title, so if you watch this five-minute video you get the main stuff. I watched the video after reading the book and writing all that mess above.

The book is available (exclusively) online here:

And this book isn't bad either; much more practical. Also free.

Wednesday, October 20, 2010

Thoughts on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Walter Benjamin 1936 (Full text)

I read this essay after seeing it mentioned in Program or Be Programmed by Douglas Rushkoff. After reading it, I think Rushkoff rather misinterpreted Benjamin's essay. But then, the essay is not very good; it's rather hard to get a clear or concise interpretation out of it.

I was interested in the essay because Rushkoff described it as be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like paintings) and photography/mass-production, which is a relationship I have been interested in for some time. Benjamin does talk about it a bit, but really seems to spend more time bogged down in film, which was comparatively new and novel at the time of Benjamin's writing.

Benjamin is also bogged down by Marxism. It's like reading something by a serious religious believer; he can't finish a sentence without "by the will of God" or "the means of production"...

My most serious gripe, though, is that it just doesn't have a clear point. It's got a preface, 15 parts, and an epilogue, and some of the parts do contain more or less unified ideas, but I'm left wondering exactly what the point is. I hope this is not my deficiency as a reader. The style is such that you can, if you want, pull a number of ideas out of it, certainly, but it doesn't seem to have clear message.


Aside: This generally reminds me of and informs an idea I've been thinking about for a while. How does writing particularly function to convey thought? It allows for preparation and editing, so that an author can distill his ideas, organize them into an outline, and then expand them into explanation for the reader. The reader can then carefully read and distill out the ideas into his own outline form, and we should hope that the author's outline and the reader's outline are similar. Importantly, the process i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just speaking extemporaneously. But this Benjamin's essay (and, by the way, my thoughts here) bear more of a resemblance to loosely organized meandering speech. Bertrand Russell also wrote that he writes all at one go, without preparing and without editing afterward. Of course I doubt he could say that of his mathematical proofs, etc. But I wonder what might be the differences or benefits/drawbacks of the two methods of writing, and if perhaps the more organized, structural approach is a more recent phenomenon. I would like to expand on this idea further, perhaps in a longer piece on language. I would like to expand on this idea further, perhaps


If I was forced to try to give a thesis for the Benjamin's essay, it would be something like "mass production and with it socialism lead art to be more political." And that's just not very interesting. A little interesting, but I get the feeling he has propaganda posters in mind more than really interesting conceptual art.


That said, there are definitely interesting things about Benjamin's essay. Some quotes have particular relevance.


"Thus, the distinction between author and public is about to lose its basic character."

Benjamin was talking about letters to the editor or being an extra in a film, but now with blogs, commenting everywhere, and the Internet generally, this seems prescient. One more like this:

"The greatly increased mass of participants has produced a change in the mode of participation."


"Magician and surgeon compare to painter and cameraman. The painter maintains in his work a natural distance from reality, the cameraman penetrates deeply into its web. There is a tremendous difference between the pictures they obtain. That of the painter is a total one, that of the cameraman consists of multiple fragments which are assembled under a new law. Thus, for contemporary man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by the film is incomparably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the painter, since it offers, precisely because of the thoroughgoing permeation of reality with mechanical equipment, an aspect of reality which is free of all equipment. And that is what one is entitled to ask from a work of art."

One big theme is art being originally a cult, magic, religious thing - functional, in that sense, not just for looking at. More modern art is obviously just for exhibition. (The bit about assembly is largely because he's thinking of film and editing here.) I think Benjamin has something here, although I don't think he necessarily needs to go all the way to magic when decorative arts is far enough.


"Dadaism is film." (Crude paraphrase.)

Benjamin says that art pushes the boundaries of the available media, so that crazy-looking Dadaist "paintings" were really trying to achieve the rushing moment-by-moment effect of film. Kind of a neat idea. So what's next, then?


Benjamin compares architecture to film. This makes sense in that everybody sort of lives in its environment, without always consciously considering it. You're just in the building, you just have the TV on, something like that. He also comments that in a similar way everybody becomes a critic, saying:

"The public is an examiner, but an absent-minded one."


Benjamin also has some political ideas, as mentioned above. Some are interesting.


"Fascism sees its salvation in giving these masses not their right, but instead a chance to express themselves."

Seems relevant when everyone can publish their ideas to their heart's content, but the political system seems if anything even more unresponsive and opaque.


"Only war makes it possible to mobilize all of today’s technical resources while maintaining the property system."

This reminded me of 1984, with its perpetual war. Is that what we're doing now, with wars continuing on even with little or no press coverage?


“'Fiat ars – pereat mundus', says Fascism, and, as Marinetti admits, expects war to supply the artistic gratification of a sense perception that has been changed by technology. This is evidently the consummation of “l’art pour l’art.” Mankind, which in Homer’s time w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for the Olympian gods, now is one for itself. Its self-alienation has reached such a degree that it can experience its own destruction as an aesthetic pleasure of the first order. This is the situation of politics which Fascism is rendering aesthetic. Communism responds by politicizing art."

This is the very end of the piece. I looked up the Latin: let art be created, though the world is destroyed. Benjamin doesn't think war is beautiful, and in this I think I agree with him. Mostly. Have you seen those cool jets?

Sunday, October 10, 2010

'God couldn't do faster': Human solutions.

I read this article on NewScientist:


They found that any Rubik's cube can be solved in 20 moves or less, which doesn't matter.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although mathematicians and math were involved, and even helped, ultimately the solution was not a mathematical one in the traditional sense.

They just tried every possibility.

To be clear, this is not mathematics as usual. This is the kind of solution that the slow kid in the back does, just plugging through something again and again because he doesn't see the obvious, simple, quick way to know the solution.

In math, you're not supposed to have to use a brute force attack. Sure, a lot of mathematical software uses numerical methods, but this is a case where they clearly would have liked to have found a proof of some kind, but instead just let the computer chug through it. The answer is definitely right, but there's no proof.

It seems like more and more stuff is going this way. It's as if a limit has been reached for human cleverness. Maybe most or all of the new results will come from techniques like this, relying on massive computer power.

Perhaps this will be the new revolution in physics - relativity and quantum mechanics rely on math that is at the boundary of understanding even for people who specialize in it, as far as I can tell. Maybe new methods of doing physics with computers, in a somehow analogous manner, will lead to more progress, as human-generated theories flounder. There's that software that takes raw data and automatically models it, for instance...

I wonder.

Wednesday, September 1, 2010

한국의 사교육과 공교육

한국의 사교육과 공교육

슈마커 애런

I. 서론

“교육도 비지니스입니다.” 올해 방송된 한국 미니시리즈 『공부의 신』에서 성인 남자 주인공이 이렇게 말했다. 정말로 그런가?

사람들은 누구나 좋은 교육을 원한다. 그러나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누가,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많다. 한국의 사교육과 공교육의 최근 관계를 살펴보면 그 사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의 사교육과 공교육으로 나눈 교육 문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II. 본론

1. 역사적 배경

『공부의 신』도 원작은 일본 것이고 한국의 교육 문화도 다른 동양 나라와 비슷한 점이 있지만, 특히 한국은 교육과 관련된 역사가 깊고 길다. 통일 신라 시대에 독서삼품과는 실패했지만 그 후에 공부와 시험들이 한국 사회의 품격과 평등을 지켜 왔다. 즉, 조선 시대의 과거라는 시험은 관리가 될 사람의 자질을 보증했고 가족주의의 차별을 줄였다. 물론, 역사적으로 주로 양반들만이 교육을 받기 위해 돈과 시간을 낼 수 있었다.[1]

20세기에 한국이 세계에서 선진대열에 올라서면서 한국 사람 대부분이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 수학능력시험, 공무원 시험, 사기업 취직시험까지 한국에서 시험은 계속 증가해 왔고 계속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공교육이 활성화되었고 이제 교육은 기본권으로 볼 수 있다. 한국 아이들은 모두 큰 비용을 들이지않고 고등학교까지 다닌다. 그러나 공교육의 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된 이후로 개인 기업인 사교육 산업도 많이 발전해 왔다.

교육은 사회 평등을 지키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1980년에 한국 정부가 과외를 금지했으나 그후에 그 법은 폐지되었다. 이제 정부의 도움으로만 ‘교육’을 받든지 직접 시장에서 ‘교육’을 찾든지, 한가지 사실은 분명하다: 대한민국은 교육열이 있다.

2. 현 상황

1) 공교육

한국 아이들은 8살이 되면 초등학교에 들어간다.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후에 97%가 졸업한다.[2] 한 교실에서 학생은 30~40명이 보통이고, 진급은 대부분의 경우 이루어진다. 배우는 과목은 수학, 과학, 국어, 영어, 사회, 도덕, 음악, 체육, 미술, 한문, 기술-가정, 컴퓨터 등이다. 학생들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하루에 6시간 정도 학교에 있고 격주로 토요일에 3시간 정도 학교에 다닌다.

사립이든 공립이든 정부가 학교 관리에 많이 개입한다. 고등학교의 경우에 대광고등학교의 이기서 교감이 설명한 바에 따르면, 1976년부터 고교평준화로 인해서 사립과 공립에 똑같은 학생들이 지원한 뒤 추첨하여 들어오기에 지금은 학생들의 수준이 같고 교사들의 보수와 학생들의 수업료도 같으며 국가에서 인건비등을 상당히 지원받고 있다.[3] 정부 간섭의 수준은 올해 대법원 판결로 사립학교도 종교교육을 시킬 수 없다는 정도이다. 학비가 더 비싼 자율형 학교, 그리고 특수 목적의 특별한 학교가 몇 군데 더 있으나 대부분의 학교는 많이 평준화되었다.

2) 사교육

공교육의 장인 학교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사교육을 이용할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유치원을 다닌다. 학교에 들어간 후에도 집에서 과외 수업을 들거나 학원을 다닌다. 한국에는 학원이 많다. 오후와 주말에 운영되고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거의 독립되었다. 법적으로 밤 10시까지 수업을 끝내야 되는데 위반하는 경우도 있다. 국어, 영어, 수학, 과학을 가르치는 학원이 많고 미술, 음악, 수영 등을 가르치는 학원 등 다양하다.

예를 들면 청담어학원의 경우 학생들이 원어민으로부터 일주일에 2번씩 3시간의 영어 수업을 듣는다. 반은 학생의 나이는 달라도 실력대로 구성되고 한 반에 학생은 15명 이하다. 진급도 시험대로 결정된다. 수업 외에 인터넷을 이용하는 과제도 많다. 온라인 교육을 개발하기 위해 엔씨소프트와 함께 할 사업 계획을 올해 6월 21일에 발표했다.[4]

3. 사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견해

사교육을 많이 이용하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 고가의 사교육이 불평등을 조장하는 면도 있고 비싸서 그냥 부담스럽다고도 한다. 사교육비가 너무 들어서 한국의 저출산률의 원인 중 하나가 된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 이유로 한국 정부가 사교육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4. 최근 정부의 교육 방향

1) 사교육 없는 학교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7월부터 457개 초·중·고등학교를 ‘사교육 없는 학교’로 바꾸었고 올해 180개교도 그렇게 할 예정이다. 이런 학교는 정부에서 지원을 더 받아서 방과후 교육을 더 많이 실시한다. 학교 교육을 강화해서 사교육의 필요성이 감소되기를 바라고 있다.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1.5% 증가하면서 교육서비스업 매출은 12년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했고 학원산업도 하락세인 걸 보면 사교육을 줄이려는 정부 정책이 효과가 있는 것 같다.[5]

이 정책은 미국의 유치원의 예와 비교할 수 있다. 미국에서 유치원은 원래 사교육으로 18세기 중기에 성립되었다. 그런데 사람들이 유치원 교육의 효과를 보고 19세기 중기까지 미국 전역에서 유치원은 공교육에 편입시켰다. 학교의 한 학년이 되면서 유치원이 원래 형태에서 조금씩 변화했고 미국에서 지금도 사교육인 유치원도 있기는 하지만 학교가 거의 전적으로 유치원의 역할도 한다.[6] 미국 시스템과 같은 식으로 하면 많은 비용이 들겠지만 한국 학교가 사교육의 역할을 하게 되면 정부가 사교육을 줄이려는 시도가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

2) 수능시험과 학교의 다양화

지금 한국에서 두가지의 모순된 상황이 있는 것 같다. 하나는 대학 입학을 결정하는 수학 능력 시험이고, 또 다른 하나는 최근의 학교 다양화의 바람이다.

한국 대학들은 정부가 시행하는 수능시험 결과를 사용해서 입학 결정을 한다. 본고사 등 다른 시험의 사용은 금지돼 있다. 일년에 한 번만 볼 수 있는 수능시험은 교육 평준화의 큰 도구이다. 사교육을 줄이려고 정부가 EBS 방송의 수능 반영 비율을 높이겠다고 하지만 이 하나의 시험만이 학생의 미래를 정하는 이상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그러면서 학생마다 좋은 교육을 시키기 위해 학교 특성화와 다양화를 원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기서 교감 선생님은 미래에 다양한 입시제도의 도입을 예상하고 있다.[7]

다양화를 추진하기 위해 마련된 교육과학기술부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2011년부터 학교 재량으로 총 수업시수 범위에서 20%를 더하거나 뺄 수 있다. 그런데 대학에 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렇게 되면 교육적인 다양화는커녕 오히려 학교들이 더욱 더 수능시험에 나오는 과목에만 집중할까 봐 걱정스럽다.[8] 수능시험이 교육의 중심적인 목표인 이상 다양화나 다른 교육적인 변화는 어려울 듯싶다.

5. 미국 사·공교육과 비교

한국과 달리, 미국에서 사립학교는 정부의 간섭이 거의 없다. 정부에서 지원도 받지 않기 때문에 미국에서 사립학교는 사교육과 마찬가지다. 미국에서는 돈이 있는 부모님들이 학원 대신에 사립학교로 아이를 보낸다. 그래서 그런지 미국에서는 학원이 별로 없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이 있는 사람이 돈을 쓸 방법을 찾게 마련이다.

III. 결론

대한민국의 교육 목표인 우수와 평등은 둘다 존중할 만한 가치이다. 우수는 시험으로 정의된다는 장단점이 있고, 참된 평등을 이루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현대 한국 학생들은 교육을 받기 위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좀 더 여유있는 방법이 없을까 궁금해하기도 한다. 좋은 교육이 어떤 교육인가는 중요한 질문이다. 최근 정부 정책은 사교육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될 것 같지만 부유층의 이점을 완전히 없애는 방안은 못 된다. 앞으로도 공교육과 사교육은 계속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


[1]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역사반 자료 2010년 여름 학기

[2] BBC News “South Korea’s education success” 2005년 9월 13일 http://news.bbc.co.uk/2/hi/uk_news/education/4240668.stm

[3] 이기서 교감 선생님과의 개인 인터뷰 2010년 7월 3일

[4] 동아일보 김범석 기자 “엔씨소프트, 온라인 영어교육 사업 진출” 2010 6월 22일 http://news.donga.com/It/Game/3/0816/20100622/29279140/1

[5] 국민일보 고세욱 기자 “사교육 대책 약발 먹히나...교육서비스업 매출 12년 만에 최대폭 하락” 2010년 7월 29일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3966489

[6] Tyack, D. and Cuban, L. (1995) “Tinkering Toward Utopia: A Century of Public School Reform”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7] 이기서 교감 선생님과의 개인 인터뷰 2010년 7월 3일

[8] 경남도민일보 사설 “학교교육이 걱정스럽다” 2010년 7월 22일 http://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22497

Story-time with Aaron: Part 8

(Part 7)


---


"Do you ever wonder about time?"

Aaron is eating a bowl of something like it did something to him. "What?"

"Time. You know; time is weird."

"You know what's weird? You're weird. Shut up." Maybe that bowl of something really did do something to him.

"No, come on... You know, they say time is a dimension just like up and down. I can jump up and down, but I can't do anything like that with time."

Aaron is working hard to dig out the bottom of that blue bowl. "Yeah, that Einstein Einstein said a lot of crazy shit. You know he thought everybody was going to be vegetarian?"

"What? Look, I'm just saying, what if it stopped?"

"What if what stopped?" Aaron is deliberately looking at something he is not interested in."

"Time! I mean, what if time just stopped for a while? Would we even know? Could we?"

"What would it mean for time to stop?" Either Aaron's mood is getting better and he's joining the conversation, or he's just asking a banal question to avoid entering the conversation.

"You know, time is always going, right? It seems like it's always going. Always the same speed. So what if right now

time stopped and then it started again?"

Aaron is watching a TV that isn't there. "How long did it stop for? Stupid."

"That's what I mean though - I guess to know something stopped, it has to be in the same place for some length of time. But maybe it's like, somebody else's time."

Aaron looks up. "Like, God's time?"

"Yeah, something like that, right?"

"I don't believe in god." Aaron looks down again.

"But just imagine, you know, something like god. Just something outside that still feels time passing."

Aaron is changing channels on the imaginary TV. "Weren't we going to nuke Jerusalem? What ever happened with that?"

"Are you fucking serious?"

Aaron is unphased. "That wouldn't be time stopping. It would be more like our consciousness jumping over some span where your god is still waiting around. And I guess everything is sort of frozen, except god is thinking there, really really bored."

"What if it was like, another direction of time?"

"So god is really bored like eternally at every moment in our time stream. Doesn't sound much better for god." Aaron doesn't seem to mind that it's an infomercial.

"Nobody signs up to be god."

Aaron's chair looks more comfortable all of a sudden. "So, in conclusion, time goes on, and it sucks to be god?"

"You know, sometimes I wonder why I even talk to you."

"What about Jerusalem then? We could help god out." Aaron smiles.

Story-time with Aaron: Part 7

(Part 6) (Part 8)


---


Jesus is unable to find his wallet. Ask him a question.

"Did you have anything important in it?"

Lily answers for him. "It's a wallet! Of course there is!"

Jesus is recalcitrant in contradicting her. "Actually, not all that much... I spent all my money on lunch. I keep my license at my dad's shop. Really the only thing in there was my Family Video card."

Lily is puzzled. "What about your student ID?"

"I lost that a while ago," Jesus says. "Haven't missed it, really."

"So the only thing in your wallet is a Family Video card?" asks Lily. "You don't even need to show your card to rent there. It must be a nice wallet."

"It's the one I made out of duct tape in high school," says Jesus. "It was kind of falling apart."

Lily laughs.

Tuesday, August 24, 2010

6급 8과 2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8과 2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24일


8과 2항 문법 1

-는 둥 마는 둥 하다

가: 면접 시험 잘 봤어?
나: 너무 떨려서 생각하는 둥 마는 둥 하면서 빨리 대답하고 나왔어. 좋은 결과 못 볼 것 같아.

가: 우와, 그 여자 봤냐?
나: 예쁘다 못해 보면서 숨 쉬는 둥 마는 둥 했네...


8과 2항 문법 2

-던 차이다

가: 야, 강 대리! 그 보고서 안 내?
나: 그렇지 않아도 끝내려던 차였어요. 잠깐만 기다려 주세요, 부장님...

가: 같이 좀 먹을래?
나: 안 그래도 밥 먹자고 하려던 차였어, 가자.



쌤 검사 후:


8과 2항 문법 1

-는 둥 마는 둥 하다

가: 면접 시험 잘 봤어?
나: 너무 떨려서 대답을 하는 둥 마는 둥 하고 나왔어. 좋은 결과 못 얻을 것 같아.

가: 우와, 그 여자 봤냐?
나: 예쁘다 못해 마네킹 같더라. 보면서 숨을 쉬는 둥 마는 둥 했네... [?]


8과 2항 문법 2

-던 차이다

가: 야, 강 대리! 그 보고서 안 내?
나: 그렇지 않아도 끝내려던 차였어요. 잠깐만 기다려 주세요, 부장님...

가: 같이 좀 먹을래?
나: 안 그래도 밥 먹자고 하려던 차였어, 가자.

Monday, August 23, 2010

6급 8과 2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8과 2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23일


8과 2항 대화

1) 그야말로
가: 기여입학제는 그야말로 뇌물입니다!
나: 어제 만난 그 여자는 그야말로 내 이상형이다~ <3

2) 과찬이다
가: 과찬이세요, 제가 해야 할 일을 뿐만이었지요.
나: 살려줄 수 있으면 살려줘야지요, 과찬이시네요. 저는 의사지요, 뭐.

3) 거동
가: 거동이 불편하신 할머니는 안락사를 부탁하셨다.
나: 경찰들이 그 도둑의 거동을 살피고 있다.

4) 안쓰럽다
가: 나도 그런 장애인 거지를 보기 안쓰러운데 지하철에서 돈을 구걸하는 게 불법이잖아.
나: 그 소녀 가장 학생은 숙제 안 해 와도 내 마음이 안쓰럽다.

5) 흔하다
가: 성 김은 한국의 제일 흔한 성이다.
나: 정말 좋은 친구는 흔하지 않다.

6) 으뜸가다
가: 지금 나와 있는 정치인들 중에서 그 사람이 으뜸간다.
나: 그 비보이는 세계적으로 으뜸으로 꼽을 수 있다.

7) 덕목
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덕목대로 사냐, 벌을 피하기만 하냐?
나: 교사가 갖춰야 할 덕목은 참된 이해력이다.

8) 신장
가: 다이어트할 겸 신장을 기증하기로 했다.
나: 신장은 장기이고, 콩팥은 먹을 것이야!

9) 한사코
가: 학생이 한사코 숙제를 안 하겠다고 하면 어쩔 수가 없다.
나: 여자 친구 부모님은 한사코 나랑 결혼하지 마라고 말리고 계셔서 힘들다.

10) 온갖
가: 온힘을 다해서 온갖 일을 해 보면 피곤해지기만 한다.
나: 그 아이스크림 가계에 있는 온갖 맛을 먹어보고 싶다.

11) 수발
가: 인구가 나이 먹을수록 수발해줄 사람이 많이 필요할 것이다.
나: 그 병원에 식물인간이 많아서 수발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겠다.

12) 마다하다
가: 뇌물은 마다해야지요.
나: 죄송한데 초대를 마다할 수밖에 없어요.



쌤 검사 후:


8과 2항 대화

1) 그야말로
가: 기여입학제는 그야말로 뇌물로 입하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나: 어제 만난 그 여자는 그야말로 내 이상형이다~ <3

2) 과찬이다
가: 과찬이세요, 제가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이었지요.
나: 살려줄 수 있으면 살려줘야지요, 과찬이시네요. 저는 의사인데요, 뭐.

3) 거동
가: 거동이 불편하신 할머니는 안락사를 부탁하셨다.
나: 경찰들이 그 도둑의 거동을 살피고 있다.

4) 안쓰럽다
가: 나도 그런 장애인 거지를 보기 안쓰럽긴 한데 지하철에서 돈을 구걸하는 건 불법이잖아.
나: 그 소녀 가장 학생은 숙제 안 해 와도 내 마음이 안쓰럽다.

5) 흔하다
가: 성 김은 한국의 제일 흔한 성이다.
나: 정말 좋은 친구는 흔하지 않다.

6) 으뜸가다
가: 지금 나와 있는 정치인들 중에서 그 사람이 으뜸간다.
나: 그 비보이는 세계적으로 으뜸으로 꼽을 수 있다.

7) 덕목
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덕목대로 사냐, 벌을 피하기만 하냐?
나: 교사가 갖춰야 할 덕목은 참된 이해력이다.

8) 신장
가: 다이어트도 할 겸 신장을 기증하기로 했다.
나: 신장은 장기이고, 콩과팥은 먹을 것이야!

9) 한사코
가: 학생이 한사코 숙제를 안 하겠다고 하면 어쩔 수가 없다.
나: 여자 친구 부모님은 한사코 나랑 결혼하지 마라고 말리고 계셔서 힘들다.

10) 온갖
가: 온힘을 다해서 온갖 일을 해 보면 피곤해지기만 한다.
나: 그 아이스크림 가게에 있는 온갖 맛을 먹어보고 싶다.

11) 수발
가: 사람이 나이를 먹을수록 수발해줄 사람이 많이 필요할 것이다.
나: 그 병원에 식물인간이 많아서 돌보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겠다.

12) 마다하다
가: 뇌물은 마다해야지요.
나: 죄송한데 초대를 거절할 수밖에 없어요.

Friday, August 20, 2010

6급 8과 1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8과 1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20일


8과 1항 문법 1

-다 못해

가: 그 강의는 어땠어요?
나: 지루하다 못해 강의실에서 바로 자살하고 싶을 정도로 재미 하나도 없었어.

가: 오디션에 나온 사람들이 어땠어요?
나: 듣다 못해 그만하라고 할 수밖에 없었어요, 대부분은.


8과 1항 문법 2

-기에 망정이지

가: 공부도 안 하고 시험을 봤다면서요?
나: 네, 내가 참 똑똑하기에 망정이지 안 그랬으면 합격을 못 했겠지요.

가: 아까 죽을 뻔했지.
나: 응, 쌤이 착하기에 망정이지 아니면 큰일날 뻔했다 맞어.



쌤 검사 후:


8과 1항 문법 1

-다 못해

가: 그 강의는 어땠어요?
나: 지루하다 못해 강의실에서 바로 자살하고 싶을 정도로 재미가 하나도 없었어.

가: 오디션에 나온 사람들이 어땠어요?
나: 듣다 못해 그만하라고 할 수밖에 없었어요, 대부분은.


8과 1항 문법 2

-기에 망정이지

가: 공부도 안 하고 시험을 봤다면서요?
나: 네, 제가 참 똑똑하기에 망정이지 안 그랬으면 합격을 못 했겠지요.

가: 아까 죽을 뻔했지.
나: 응, 쌤이 착하기에 망정이지 아니면 큰일날 뻔했다. 맞어.

Wednesday, August 18, 2010

6급 8과 1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8과 1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18일


8과 1항 대화

1) 체험
가: 일하기 때문에 문화 체험에 못 갔다.
나: 이번 주말에 일일 체험을 갔다 올까?

2) 불을 때다
가: 텐트를 치고 나서 불을 땔 거야.
나: 땔감을 구해서 불을 땠다.

3) 탁해지다
가: 그 친구가 방귀를 뀌어서 공기가 다 탁해져 저렸다.
나: 환경 오염으로 강물이 탁해지고 있다.

4) 경이롭다
가: 공부도 안하고 만점을 맞았더니 경이롭구만... 컨닝 했지?
나: 지금까지의 과학적인 발달을 많이 해 왔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주의 탄생은 경이로운 일이다.

5) 소재
가: 셔츠가 이쁘다! 소재는 뭔데?
나: 그 드라마는 소재가 원래부터 지루해서 실패할 것 같다.

6) 자연친화적이다
가: 자연친화적이라고 해도 모기와 같이 사는 것이 싫다.
나: 자연친화적인 물건들도 너무 비싸면 소비자들이 잘 애용하지 않을 것이다.

7) 장치
가: 청담어학원은 교실마다 CCTV 장치가 있다.
나: 스파이가 호텔 방에서 도청 장치를 찾아 냈다.

8) 처마
가: 제비 한 마리가 처마에서 살고 노래를 부른다.
나: 그 남자아이가 처마를 잡아서 집 지붕으로 올라갔다.

9) 형태
가: 전 모델과 비해 새로운 아이폰의 형태는 조금씩 다르다.
나: 북한과 남한은 정부 형태가 다르다.



쌤 검사 후:


8과 1항 대화

1) 체험
가: 일하기 때문에 문화 체험에 못 갔다.
나: 이번 주말에 일일 체험을 갔다 올까?

2) 불을 때다
가: 텐트를 치고 나서 불을 땔 거야.
나: 땔감을 구해서 불을 땠다.

3) 탁해지다
가: 그 친구가 방귀를 뀌어서 공기가 다 탁해져 버렸다.
나: 환경 오염으로 강물이 탁해지고 있다.

4) 경이롭다
가: 공부도 안하고 만점을 맞았다니 경이롭구만... 컨닝 했지?
나: 지금까지 과학이 발달을 많이 해 왔는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주의 탄생은 경이로운 일이다.

5) 소재
가: 셔츠가 이쁘다! 소재는 뭔데?
나: 그 드라마는 소재가 원래부터 진부해서 실패할 것 같다.

6) 자연친화적이다
가: 자연친화적이라고 해도 모기와 같이 사는 것이 싫다.
나: 자연친화적인 물건들도 너무 비싸면 소비자들이 잘 애용하지 않을 것이다.

7) 장치
가: 청담어학원은 교실마다 CCTV 장치가 있다.
나: 스파이가 호텔 방에서 도청 장치를 찾아 냈다.

8) 처마
가: 제비 한 마리가 처마에서 살며 자주 지저귄다.
나: 그 남자아이가 처마를 잡고 집 지붕으로 올라갔다.

9) 형태
가: 전 모델과 비교하면 새로운 아이폰의 형태는 조금씩 다르다.
나: 북한과 남한은 정부 형태가 다르다.

Tuesday, August 17, 2010

6급 7과 2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7과 2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17일


7과 2항 대화 2

12) 내친 김에
가: 내친 김에 지금 바로 결정해 냅시다.
나: 내친 김에 오늘 다 하는 게 어때요?


7과 2항 문법 1

-는/은/ㄴ/인 반면

가: 한마디로 이 사건을 어떻게 보십니까?
나: 북한 관계가 있는 가능성이 높은 반면 외교가 중요하니만큼 조심스러운 일입니다.

가: 일본 여행은 어때요?
나: 한국과 가까워서 비행기 표는 싼 반면 일본 물가는 비싸지요.


7과 2항 문법 2

-으로/로 말미암아

가: 아이티 복구는 잘 진행하고 있습니까?
나: 아시다시피, 지진으로 말미암아 피해가 너무 많았습니다만 많은 사람들이 힘을 합쳐서 열심히 복구하고 있습니다.

가: 퇴직금을 다 적립하셨다면서요?
나: 뭔소리야? 지난 외환위기로 말미암아 반이나 잃어버렸잖아.



쌤 검사 후:


7과 2항 대화 2

12) 내친 김에
가: 내친 김에 지금 바로 결정해 버립시다.
나: 내친 김에 오늘 다 하는 게 어때요?


7과 2항 문법 1

-는/은/ㄴ/인 반면

가: 한마디로 이 사건을 어떻게 보십니까?
나: 북한이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반면 중국은 관계가 없을 것 같습니다.

가: 일본 여행은 어때요?
나: 한국과 가까워서 비행기 표는 싼 반면 일본 물가는 비싸지요.


7과 2항 문법 2

-으로/로 말미암아

가: 아이티 복구는 잘 진행하고 있습니까?
나: 아시다시피, 지진으로 말미암아 피해가 너무 많았습니다만 많은 사람들이 힘을 합쳐서 열심히 복구하고 있습니다.

가: 퇴직금을 다 적립하셨다면서요?
나: 뭔소리야? 지난 외환위기로 말미암아 반이나 잃어버렸잖아.

Monday, August 16, 2010

6급 7과 2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7과 2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16일


7과 2항 대화 1

1) 밀림
가: 모기가 너무 많아서 밀림에 가고 싶지 않다.
나: 세계화 때문에 밀림이 소실되고 있다.

2) 사원
가: 요즘 미국에서 이슬람 사원 건설을 반대하는 보수적인 사람이 많다.
나: 부처님 생일에 불교 소원에 가서 비빔밥을 무료 먹을 수 있다고 들었다.

3) 장관
가: 스위스 산에 올라갈수록 장대한 장관이 펼쳐진다.
나: 바르셀로나 분수는 진짜 장관이다.

4) 어마어마하다
가:논문 내용 속에 있는 실수 양은 정말 어마어마했다.
나: 9/11 테러는 어마어마한 건물을 2개나 파괴가 돼서 충격도 어마어마했다.

5) 압도당하다
가: 어젯밤에 숙제에 압도당해서 정말 힘들었다.
나: 좌담회 상대팀의 멍청함에 압도당합니다.

6) 씁쓸하다
가: 뉴스를 보면 마음이 씁쓸해서 뉴스보기 싫어졌다.
나: 아이는 부모님이 싸우는 소리가 들리면 기분이 씁쓸하다.

7) 소실되다
가: 한국의 목조 문화재는 많이 소실되었다.
나: 범인이 기록을 소실했다.
다: 공룡들이 소실됐다.

8) 황폐화되다
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세계의 많은 지방이 활폐화되었다.
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드레스덴이 황폐화됐을 때 커트 보네거크가 거기에 있었다.
다: 밀림이 황폐화되면 안 된다!

9) 지반
가: 지반이 약하면 붕괴 위험하다.
나: 지진이 날 때 지반이 내려앉을 수 있다.
다: 지반을 다지기 위해 콘크리트를 많이 이용한다.

10) 전적으로
가: 나는 오바마를 전적으로 지지했다.
나: 소설 해리포터에서 해그리드는 덤블도어를 전적으로 믿는다.

11) 동감
가: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나: 저는 그 점에서 동감인데 이 쪽은 왜 공감을 못하십니까?



쌤 검사 후:


7과 2항 대화 1

1) 밀림
가: 모기가 너무 많아서 밀림에 가고 싶지 않다.
나: 세계화 때문에 밀림이 소실되고 있다.

2) 사원
가: 요즘 미국에서 이슬람 사원 건설을 반대하는 보수적인 사람이 많다.
나: 부처님 탄신일에 절에 가면 비빔밥을 무료로 먹을 수 있다고 들었다.

3) 장관
가: 스위스 산에 올라갈수록 장대한 장관이 펼쳐진다.
나: 바르셀로나 분수는 진짜 장관이다.

4) 어마어마하다
가:논문 내용 속에 있는 실수의 양은 정말 어마어마했다.
나: 9/11 테러로 어마어마한 건물을 2개나 파괴가 돼서 충격도 어마어마했다.

5) 압도당하다
가: 어젯밤에 숙제양에 압도당해서 정말 힘들었다.
나: 좌담회 상대팀의 멍청함에 압도당합니다.

6) 씁쓸하다
가: 뉴스를 보면 마음이 씁쓸해서 뉴스보기가 싫어졌다.
나: 아이는 부모님이 싸우는 소리가 들리면 기분이 씁쓸하다.

7) 소실되다
가: 한국의 목조 문화재는 많이 소실되었다.
나: 범인의 기록을 소실했다.
다: 소실됐다.

8) 황폐화되다
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세계의 많은 지방이 황폐화되었다.
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드레스덴이 황폐화됐을 때 커트 보네거크가 거기에 있었다.
다: 밀림이 황폐화되면 안 된다!

9) 지반
가: 지반이 약하면 붕괴 위험성이 있다.
나: 지진이 날 때 지반이 내려앉을 수 있다.
다: 지반을 다지기 위해 콘크리트를 많이 이용한다.

10) 전적으로
가: 나는 오바마를 전적으로 지지했다.
나: 소설 해리포터에서 해그리드는 덤블도어를 전적으로 믿는다.

11) 동감
가: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나: 저는 그 점에서 동감인데 이 쪽은 왜 공감을 못하십니까?

Friday, August 13, 2010

6급 7과 1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7과 1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13일


7과 1항 대화 2

3) 측면
가: 재미있겠지만 경제적 측면은 성공할 가능성이 없는 일이다.
나: 원래 회사가 보내서 온 건데 와 보니까 개인적 측면도 생겼다.

4) 효심
가: 효심있는 아이라고 해서 좋은 사람이 아니다.
나: 효심이라고 그 집 아들은 40대 돼도 독립하게 생활하지 못한다.

5) 배후
가: 냉장고 배후에 음식 쓰레기가 있어서 냄새난다.
나: 성공하려면 배후에 지원자가 많은 것이 분명히 도움이 된다.

6) 길목
가: 이 길목인 길목은 잘 지켜야겠다.
나: 파나마 운하는 길목으로 미국 관심이 많다.

7) 물자유통
가: 세계화가 발달할수록 물자유통이 엄청나게 빨라진다.
나: 물자유통을 시키기 위해 자유 무역 협정이 체결되었다.

8) 동원하다
가: 대통령이 군인들을 동원할 예정이다.
나: 새로운 건물을 건설하려면 자금을 많이 동원해야 할 것이다.

9) 대거
가: 학생들이 대거 시위를 했다.
나: 경찰들이 대거 시위를 막으려고 애를 섰다.
다: 이에 대해서 정치가들이 토론회에 대거 참여할 것이다.

10) 성곽
가: 우리 집은 성곽이다.
나: 무례 성곽을 쌓으자!
다: 경찰들이 길목인 성곽을 지키고 있다.


7과 1항 문법 1

-은/ㄴ 이상

가: 시간이 이렇게 없는 이상 빨리 해야지!
나: 그래도, 그렇게 대충대충 하면 안 될 거 아니야?

가: 어떻게 한국어를 배우게 됐어요?
나: 한국에 있는 이상 조금이라도 자기계발로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7과 1항 문법 2

-는다는/ㄴ다는/-다는 점에서

가: 왜 술자리에 안 가지?
나: 시간 낭비라는 점에서 나 안 간다.

가: 죄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나: 그것보다도 도덕을 나쁘게 한다는 점에서 반대합니다.



쌤 검사 후:


7과 1항 대화 2

3) 측면
가: 재미있겠지만 경제적 측면에서는 성공할 가능성이 없는 일이다.
나: 원래 회사가 보내서 온 건데 와 보니까 개인적 측면에서도 잘 된 것 같다.

4) 효심
가: 효심있는 아이라고 해서 좋은 사람이 아니다.
나: 그 집 아들은 40대 돼도 독립적으로 생활하지 못한다.

5) 배후
가: 냉장고 뒤에 음식 쓰레기가 있어서 냄새가 난다.
나: 성공하려면 배후에 지원자가 많은 것이 분명히 도움이 된다.

6) 길목
가: 길목을 잘 지켜야겠다.
나: 파나마 운하는 중아메리카(?)를 관통하는 길목으로 미국의 관심이 많다.

7) 물자유통
가: 세계화가 발달할수록 물자유통이 엄청나게 빨라진다.
나: 물자유통을 시키기 위해 자유 무역 협정이 체결되었다.

8) 동원하다
가: 대통령이 군인들을 동원할 예정이다.
나: 새로운 건물을 건설하려면 자금을 많이 동원해야 할 것이다.

9) 대거
가: 학생들이 대거 시위를 했다.
나: 경찰들이 대거 시위를 막으려고 애를 섰다.
다: 이에 대해서 정치가들이 토론회에 대거 참여할 것이다.

10) 성곽
가: 우리 집은 성곽이다.
나: 무례 성곽을 쌓으자!
다: 경찰들이 길목인 성곽을 지키고 있다.


7과 1항 문법 1

-은/ㄴ 이상

가: 시간이 이렇게 없는 이상 빨리 해야지!
나: 그래도, 그렇게 대충대충 하면 안 될 거 아니야?

가: 어떻게 한국어를 배우게 됐어요?
나: 한국에 있는 이상 조금이라도 자기계발을 위해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7과 1항 문법 2

-는다는/ㄴ다는/-다는 점에서

가: 왜 술자리에 안 가지?
나: 시간 낭비라는 점에서 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Thursday, August 12, 2010

6급 6과 2항 3 / 7과 1항 1 연대 숙제

6급 6과 2항 3 / 7과 1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12일


6과 2항 문법 2

-는 날엔

가: 안락사를 원하세요, 할머니?
다: 내가 식물인간이 되는 날엔 날 죽여 줘, 그래.

가: 3차 대전이 발생하는 날엔 세상이 핵무기로 파괴될 것으로 보십니까?
나: 핵무기가 사용하는 날엔 세상의 끝인 것은, 그것 분명합니다.


7과 1항 대화 1

1) 트이다
가: 산에 올라갈수록 시야가 트였다.
나: 대통령이 생각이 트이지 않으면 세상의 새로운 상태들을 이해하지 못 할까 봐 걱정이다.

2.5) 유적지
가: 경주에 가면 유적지가 많다.
나: 한국에서 나무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유럽보다 남아 있는 유적지가 적다.
다: 유적은 유적한 유적에 유적 당했다니까요!

2) 명당
가: 명당을 찾아서 죽은 강아지를 매장하자.
나: 우리 학교는 명당에 있지 않아서 교장이 죽었고 학생들이 한명도 합격을 못 했다.



쌤 검사 후:


6과 2항 문법 2

-는 날엔

가: 안락사를 원하세요, 할머니?
다: 내가 식물인간이 되는 날엔 날 죽여 줘.

가: 3차 대전이 발생하는 날엔 세상이 핵무기로 파괴될 것으로 보십니까?
나: 핵무기를 사용하는 날엔 세상의 끝인 것은, 그건 분명합니다.


7과 1항 대화 1

1) 트이다
가: 산에 올라갈수록 시야가 트였다.
나: 대통령이 생각이 트이지 않으면 세상의 새로운 변화들을 이해하지 못 할까 봐 걱정이다.

1.5) 유적지
가: 경주에 가면 유적지가 많다.
나: 한국에서 예전에 나무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유럽보다 남아 있는 유적지가 적다.

2) 명당
가: 명당을 찾아서 죽은 강아지를 매장하자.
나: 우리 학교 자리는 명당이 아니라서 교장이 죽었고 학생들이 한명도 합격을 못 했다.

Wednesday, August 11, 2010

6급 6과 2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6과 2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11일


6과 2항 대화 2

13) 기금
가: 저 아이는 실력이 없는데도 신탁 기금이 있어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그래도 놀기만 할 수 있다.
나: 외환위기 때문에 우리 학교의 투자된 장학 기금이 반으로 감소했다.

14) 수혜자
가: 자여 무역 협정은 수혜자들이 피해자에 신경쓰지 않고 법을 만든다.
다: 전쟁이 일어날 때마다 수혜자는 무기 회사 뿐이다.


6과 2항 문법 1

-는답시고/ㄴ답시고

가: 어제 파티가 어땠어?
나: 아 참, 말하기 연습을 좀 한답시고 갔는데 거기 있는 사람들이 다 영어하고 있었어.

가: 나는 부자가 될 거야, 꼭. 두고 봐.
나: 부자가 되겠답시고 일을 안하고 말만 하고 뭐야? 이번주 집에서 나간 적이 하나도 없으면서, 진짜...



쌤 검사 후:


6과 2항 대화 2

13) 기금
가: 저 아이는 실력이 없는데도 재산이 많아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고 놀기만 할 수 있다.
나: 외환위기 때문에 우리 학교에서 투자해 놓았던 장학 기금이 반으로 감소했다.

14) 수혜자
가: 자유 무역 협정은 수혜자들이 피해자들에게 신경을 쓰지 않고 규정을 만든다.
다: 전쟁이 일어날 때마다 수혜자는 무기 회사 뿐이다.


6과 2항 문법 1

-는답시고/ㄴ답시고

가: 어제 파티가 어땠어?
나: 아 참, 말하기 연습을 좀 한답시고 갔는데 거기 있는 사람들이 다 영어로 말하고 있었어.

가: 나는 부자가 될 거야, 꼭. 두고 봐.
나: 부자가 되겠답시고 큰 소리만 치면서 일은 안하고 말만 하고 뭐야? 이번주 집에서 나간 적이 하번도 없으면서, 진짜...

Monday, August 9, 2010

6급 6과 2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6과 2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9일


6과 2항 대화 1

1) 격렬하다
가: 이번 좌담회에 저희 팀은 한자 교육에 격렬한 반대를 하고자 합니다.
나: 이 평화적인 시위는 경찰이 온 후에야 격렬해졌습니다.

2) 자유 무역 협정
가: 현대 자유 무역 협정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산업 혁명의 경험을 잊어버린 것 같다.
나: 세계화가 다 된다면 그 다음에 누구와 자유 무역 협정을 할까?

3) 체결되다
가: 캐나다, 미국, 멕시코 다 같이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나: 좋은 재계약이 체결되면 계속 한국에 있을 생각이다.

4) 치명적이다
가: 요즘 치명적인 6급 과제들을 하느라고 정신이 하나도 없다.
나: 치명적인 실수도 아니니까 창피하지 마.

5) 타격
가: 싸우다가 형에게 타격을 주었다.
나: 그 다음에 선배들이 다 모여서 내가 큰 타격을 입었다.
다: 지난 분기 통계 발표 뒤에 대미 환율이 타격을 입고 있다.

6) 관세
가: 자유 무역 협정으로 관세가 철폐되었다.
나: 공항 면세점에서는 관세를 내지 않고 명품을 살 수 있다.

7) 장벽
가: 고르바초프 서기장님, 이 장벽을 버리십시오!
나: 요즘 연습하고 있는데, 비보잉 실력을 느는데 자벽을 느낀다.

8) 뚫리다
가: 내 귀는 뚫리지 않아서 귀고리를 못 한다.
나: 기차가 산에 뚫린 터널을 통해서 베를린에 갔다.

9) 활성화
가: 재래시장이 활성화된다면 진짜 현대인 관광객들을 끄는 매력이 될 것 같습니까?
나: 돈을 조금 모으면 투자를 활성화하려고 한다.

10) 생계
가: 대학을 다녔을 때 부모니께서 내 생계를 도와 주셔서 정말 고마웠다.
나: 지금 내 생계 수단은 영어를 가르치는 일이다.

11) 다방면
가: 나는 다방면인 관심이 있다.
나: 문제를 해결할 때 다방면으로 보면 효과가 있다.

12) 강구하다
가: 대한민국의 정부가 사교육비 부담를 해결할 재정책을 강구하고 있다.
나: 하고 싶은데 아직 좋은 방법을 강구하지 못했다.



쌤 검사 후:


6과 2항 대화 1

1) 격렬하다
가: 이번 좌담회에서 저희 팀은 한자 교육에 격렬한 반대를 하고자 합니다.
나: 그 평화적인 시위는 경찰이 온 후에야 격렬해졌습니다.

2) 자유 무역 협정
가: 현대 자유 무역 협정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산업 혁명의 역사적 고훈을 잊어버린 것 같다.
나: 세계화가 다 된다면 그 다음에 누구와 자유 무역 협정을 할까?

3) 체결되다
가: 캐나다, 미국, 멕시코 다 같이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나: 좋은 재계약이 체결되면 계속 한국에 있을 생각이다.

4) 치명적이다
가: 요즘 치명적인 6급 과제들을 하느라고 정신이 하나도 없다.
나: 치명적인 실수도 아니니까 창피해하지 마.

5) 타격
가: 싸우다가 형에게 타격을 가했다.
나: 그 다음에 선배들이 다 모여서 내가 큰 타격을 입었다.
다: 지난 분기 통계 발표 뒤에 대미 환율이 타격을 입고 있다.

6) 관세
가: 자유 무역 협정으로 관세가 철폐되었다.
나: 공항 면세점에서는 관세를 내지 않고 명품을 살 수 있다.

7) 장벽
가: 고르바초프 서기장님, 이 장벽을 무너뜨리십시오!
나: 요즘 연습하고 있는데, 비보잉 실력을 늘리는데 신체적 장벽을 느낀다.

8) 뚫리다
가: 내 귀는 뚫지 않아서 귀고리를 못 한다.
나: 기차가 산에 뚫린 터널을 통해서 베를린에 갔다.

9) 활성화
가: 재래시장이 활성화된다면 진짜 현대인 관광객들을 끄는 매력이 될 것 같습니까?
나: 투자를 활성화하려고 한다.

10) 생계
가: 대학을 다녔을 때 부모님께서 내 생계를 도와 주셔서 정말 고마웠다.
나: 지금 내 생계 수단은 영어를 가르치는 일이다.

11) 다방면
가: 나는 다방면에 관심이 있다.
나: 문제를 해결할 때 다방면으로 접근하면 효과가 있다.

12) 강구하다
가: 대한민국의 정부가 사교육비 부담를 해결할 재정책을 강구하고 있다.
나: 그렇게 하고 싶은데 아직 좋은 방법을 강구하지 못했다.

Sunday, August 8, 2010

Thoughts on Single-Consciousness Time-Travel Reincarnation as a Really Cool Idea

Some religions (it's usually religions, isn't it?) say reincarnation happens. You die, and then your soul or whatever comes back in another living thing, maybe a person, maybe not, and you live again. I gather they say you generally have little or no conscious memory of previous lives. As I understand it, they preserve normal time-ordering, so that you're re-born AFTER you die.

I love Back to the Future and many other time-travel stories and related ideas in science, so sometimes I've thought about the possibility of coming back to visit myself. That would be weird, right? And it's a little disappointing that I have not in fact met myself from the future yet. It seems to not bode well for the future of time travel. But it could be that there are rules or armageddon scenarios or whatever that prevent you from talking to yourself - so sometimes when I see people I wonder if they might be me from the future, come back to take a look around.

And again some religions (religions, right?) say that all people are essentially one, or even that all reality is essentially one. That's Hinduism, right? Brahman? Anyway, if you look at things that way, then other people are really you, but just sort of a separate part of you somehow.

So how about this? What if after you die, you're reincarnated, with no memory of your previous live(s), but you're reborn without respect to time? So you could live as you, and then live as your father, and then live as your son, and then live as EVERYONE EVER. So everyone in the whole world would actually be the same entity, and if you help someone else you are helping yourself directly, because the other person is ALSO YOU.

I think I've got the makings of a pretty sweet religion here.

Quick religion check:
Can it be disproved? NO.
Check!
Does it have some advantage if it's true? YES.
(It's freaking awesome.)
Check!

Well, that's good enough for Pascal, and he was pretty smart, so if you're a betting man, come on and get on the everybody's-the-same-person religion train!


Somebody must have thought of this already, right? What's it called, I wonder?

Thoughts on Language Change and Dictionaries

I use dictionaries all the time. I use dictionaries when I encounter an English word that I don't know, which is not infrequently, despite BS and MAT degrees. I use dictionaries to check spelling, often built in to software as a "spell check" functionality. Let's consider those as dictionaries too, and also dual-language dictionaries, like Korean-to-English and English-to-Korean. I use those dictionaries constantly, maybe even too much, in studying Korean.

I was thinking about dictionaries today, and I realized that they are really pretty amazing. My thought was probably catalyzed by this Dinosaur Comic that mentioned Shakespeare was writing just before dictionaries began to be made, which contributes to his influence in shaping English just at the crystallization of the written language. Aren't dictionaries amazing?

Thanks to dictionaries, just about anybody who uses something we can call English can read just about anything written by anybody else in English too. I can read just about any specialist's work by looking up technical terms, even if it's slow going.

But even more generally, thanks to dictionaries, people on opposite sides of the world, who have never met, even spell things in the same way. Some new words and usages that people in Canada or the UK come up with haven't made it into dictionaries yet, and they catch me by surprise sometimes, but by and large people all use words from the dictionary.

Imagine the past, when people in your village would probably talk almost exclusively with family/village members. Even just twenty miles apart, it could become difficult to communicate in short order. Of course the older generations would still exert some stabilizing force on the language, but I don't see it as matching modern conditions.

Of course language still changes - there are some expressions unique to my family, even now - but I can't help but think that it must be changing a lot less than it used to. There are so many homogenizing forces, like dictionaries. As much as some people say dictionaries are only records of usage, the prescribe as well, and many people consider the dictionary spelling and definitions "correct". The dictionary has a prescriptive effect.

I think education must have a similar prescriptive effect, and I would guess that especially since the spread of required and/or public education, the rate of change of language overall has declined.

It's anecdotal and possibly stereotypical, but if you think about where new "slang" comes from, it's generally the less-educated rungs of society.

There's also urbandictionary.com of course. I go there sometimes to find out what the heck people are talking about. Every once in a while I need to find out some internet neologism, but I used it far more often when I was living and teaching in New York city...

Anyway, my impression is that because of dictionaries, standardized education, and widespread publishing and broadcasting, languages are probably changing more slowly than they used to. But I could be totally wrong. It makes me want to ask a linguist. A linguist who specializes in this kind of thing.



(added later) forgot to note: original idea was also about dictionaries being BIGGER than any individual's language/vocabulary...

Friday, August 6, 2010

6급 6과 1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6과 1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6일


6과 1항 문법 1

-는다는/ㄴ다는/다는 듯이

가: 회사에서 어떻게 될 거지?
나: 사장님이 다 결정됐다는 듯이 말씀하셨지만 내가 보기엔 변할 수가 아직도 있어.

가: 부모님께 얘기해 봤어?
나: 얘기했는데 부모님께서 내가 어린 아기이다는 듯이 보고만 계신 것 같았어.


6과 1항 문법 2

-건만

가: 할머니 오늘 뭐하세요?
나: 아이그, 등산이나 가려고 했건만 뾰가 아파서 안 되겠어.

가: 할아버지 생선을 많이 잡으셨어요?
나: 매날 낚시하건만 결코 잡지 않잖니.



쌤 검사 후:


6과 1항 문법 1

-는다는/ㄴ다는/다는 듯이

가: 회사에서 그 문제는 어떻게 할 거지?
나: 사장님이 다 결정됐다는 듯이 말씀하셨지만 내가 보기엔 변수가 아직도 있어.

가: 부모님께 얘기해 봤어?
나: 얘기했는데 부모님께서 내가 어린 아기라는 듯이 보고만 계신 것 같았어.


6과 1항 문법 2

-건만

가: 할머니 오늘 뭐하세요?
나: 아이그, 등산이나 가려고 했건만 허리가 아파서 안 되겠어.

가: 할아버지 물고기를 많이 잡으셨어요?
나: 맨날 낚시를 하건만 결코 잡히지 않잖니.

Thursday, August 5, 2010

6급 6과 1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6과 1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5일


6과 1항 대화

1) 힐끔거리다
가: 사람이 힐끔거려도 피해가 없으니까 신경을 쓰지 마.
나: 그 변태는 지하철을 타서 미인을 힐끔거리는 게 취미다.

2) 내색을 하다
가: 면접 시험을 볼 때 자신이 없어도 내색을 하지 말아라.
나: 나는 내색을 해서 포커를 잘 못한다.

3) 배타적이다
가: 학생들이 배타적이라서 땅와가 생긴다.
나: 정부의 배타적인 경제 정책 때문에 해외 무역이 잘 안 되고 있다.

4) 개정
가: 대통령이 선거 전에는 회칙을 개정할 거라고 주장했는데 이제 안 하고 계시네.
나: 내 고향에서도 최근 법 개정으로 다 공공건물에서 금연이 됐다.

5) 표면적이다
가: 그런 표면적인 변화는 우리를 만족시키지 못할 겁니다!
나: 미는 표면적이다.
다: 표면적으로 외교 중이면서 몰래 그 나라의 대통령을 죽이려고 했던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6) 불과하다
가: 한국이 다문화 사회가 됐다는 것은 꿈에 불과하다.
나: 미국도 다문화 사회로 발전해 왔지만 아직은 한마디에 불과하다.

7) 다민족
가: 다민족이란 민족이 한 나라 안에서 많이 있는 거예요? 사람들이 다 한 민족이 되는 거예요?
나: 다민족이라고 하면 누구를 외국인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8) 다문화 사회
가: 다문화 사회로 아직 세상에서 아무곳도 못 접어들었다.
나: 다문화 사회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통화할지 궁금하다.

9) 접어들다
가: 나는 한국 생활의 2년째로 아직 안 접어들었다.
나: 21세기로 접어들자 미래의 꿈을 다 이루는 건 아니었다.

10) 필연적이다
가: 이번 사건은 필연적인 결과는 아니라 자유를 싫어하는 테러범들의 탓입니다.
나: 실수가 필연적이라고 석유 회사 사장님이 핑계를 댔다.

11) 관심어리다
가: 관심어린 충고 감사합니다만 앞으로는 됐거든요.
나: 수업이 잘 될 때는 재미도 있고 학생들의 관심어린 얼굴이 보인다.

12) 심정
가: 지금 내 심정을 알 리가 있냐?
나: 심정을 풀리려고 술집에 가 버렸다.



쌤 검사 후:


6과 1항 대화

1) 힐끔거리다
가: 사람이 힐끔거려도 피해가 없으니까 신경을 쓰지 마.
나: 그 변태는 지하철을 타고 미인을 힐끔거리는 게 취미다.

2) 내색을 하다
가: 면접 시험을 볼 때 자신이 없어도 내색을 하지 말아라.
나: 나는 내색을 잘 해서 포커를 잘 못한다.

3) 배타적이다
가: 학생들이 배타적이라서 왕따가 생긴다.
나: 정부의 배타적인 경제 정책 때문에 해외 무역이 잘 안 되고 있다.

4) 개정
가: 대통령이 선거 전에는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아직 안 하고 계시네.
나: 내 고향에서도 최근 법 개정으로 모든 공공건물에서 금연이 됐다.

5) 표면적이다
가: 그런 표면적인 변화는 우리를 만족시키지 못할 겁니다!
나: 미는 표면적이다.
다: 표면적으로 외교 관계를 원만히 유지하면서 몰래 그 나라의 대통령을 죽이려고 했던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6) 불과하다
가: 한국이 다문화 사회가 됐다는 것은 허상에 불과하다.
나: 미국도 다문화 사회로 발전해 왔지만 아직은 말에 불과하다.

7) 다민족
가: 다민족이란 민족이 한 나라 안에 많이 있는 거예요? 사람들이 다 한 민족이 되는 거예요?
나: 다민족이라고 하면 누구를 외국인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8) 다문화 사회
가: 아직 세상에서 아무데도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지 못 했다.
나: 다문화 사회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소통할지 궁금하다.

9) 접어들다
가: 나는 한국 생활의 2년째로 아직 접어들지 않았다.
나: 21세기로 접어들었지만 미래의 꿈을 다 이룰 수 있는 건 아니었다.

10) 필연적이다
가: 이번 사건은 필연적인 결과가 아니라 자유를 싫어하는 테러범들의 탓입니다.
나: 실수가 필연적이라고 석유 회사 사장님이 핑계를 댔다.

11) 관심어리다
가: 관심어린 충고 감사합니다만 앞으로는 됐거든요.
나: 수업이 잘 될 때는 재미도 있고 학생들의 관심어린 얼굴이 보인다.

12) 심정
가: 지금 내 심정을 알 리가 있냐?
나: 답답한 심정을 풀려고 술집에 가 버렸다.

Tuesday, August 3, 2010

6급 5과 2항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5과 2항
애런 슈마커
2010년 8월 3일


5과 2항 대화

1) 성대하다
가: 성대한 결혼식을 열리기 위해 두 사람이 돈을 많이 쓰고 있다.
나: 그 행사는 아주 성대할 기대였는데 역시 소문난 잔치 먹을 거 없었다.

2) 손꼽아 기다리다
가: 핼로윈 그 다음날부터 여동생들이 크리스마스를 손꼽아 기다리기 시작한다.
나: 여름 방학까지 손꼽아 기다려 왔는데 막상 방학이 돼서 생각보다 재미없다.

3) 찬물을 끼얹다
가: 반대하시는 부모님께서 그사람의 결혼 꿈에 찬물을 끼얹으셨다.
나: 새로 나온 통계들이 경제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4) 꼴
가: 지하철을 다니는 거지들은 꼴 불견이다.
나: "꼴이 그게 뭐야!?"
다: "꼴이 말이 아니야..."

5) 편파적이다
가: 교실에서 여자한테나 남자한테 편파적인 행동을 하면 불평등이다.
나: 보수적인 당이 만든 가라서 편파적이라고 믿음이 안 간다.

6) 대조적이다
가: 관객들의 반응은 기대와는 대조적이었다.
나: 막 사랑에 빠져 결혼했는데 결국 성격이 너무 대조적이라서 이혼해 버렸다.

7) 판독
가: 스파이가 판독하지 못 하는 암호를 이용해서 비밀을 보호했다.
나: 의사선생님이 엑스레이를 판독하고 나서 진단하셨다.

8) 승복하다
가: 부모님의 반대를 승복해서 여자 친구를 버렸다.
나: 잘못된 거라고 주장하면서 투표 결과를 승복하고 있지 않는다.

9) 기립박수
가: 공연도 별로였는데 왜 기립박수를 치자고 하는 거야?
나: 너무 좋아서 기립박수를 보내고 싶었는데 혼자서 기립박수를 치다가 창피만 당했다.


5과 2항 문법 1

-는/은/ㄴ 탓에

가: 왜 또 학교에 늦은 거니?
나: 차가 늦은 탓에 지각인데 제 탓은 아니에요!

가: 부인은 어디 계세요?
나: 초록색 걸 받고 싶었다고 내가 준 선물이 빨간색인 탓에 마누라가 교환하러 가게에 갔어.


5과 2항 문법 2

이라도/라도 -을라치면/ㄹ라치면

가: 상담을 잘 받았어요?
나: 상담이라니... 내가 한 말씀이라도 할라치면 좀 기다리라고 한 거거든요. 광고만 같았단 말이에요.

가: 주말에 시험 공부를 많이 했어?
나: 조금이라도 할라치면 친구들 놀자고 한데 거절할 수가 없었지.



쌤 검사 후:


5과 2항 대화

1) 성대하다
가: 성대한 결혼식을 열기 위해 두 사람이 돈을 많이 쓰고 있다.
나: 그 행사는 아주 성대할 것으로 기대했는데 역시 소문난 잔치 먹을 거 없었다.

2) 손꼽아 기다리다
가: 핼로윈 그 다음날부터 여동생들이 크리스마스를 손꼽아 기다리기 시작한다.
나: 여름 방학까지 손꼽아 기다려 왔는데 막상 방학이 되고 보니 생각보다 재미없다.

3) 찬물을 끼얹다
가: 반대하시는 부모님께서 그사람의 결혼 꿈에 찬물을 끼얹으셨다.
나: 새로 나온 통계들이 상승세를 타던 주식 시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4) 꼴
가: 지하철을 다니는 거지들은 꼴 불견이다.
나: "꼴이 그게 뭐야!?"
다: "꼴이 말이 아니야..."

5) 편파적이다
가: 교실에서 여자한테나 남자한테 편파적인 행동을 하면 불평등하다.
나: 보수적인 당이 만든 거라서 편파적이고 믿음이 안 간다.

6) 대조적이다
가: 관객들의 반응은 기대와는 대조적이었다.
나: 막 사랑에 빠져 결혼했는데 결국 성격이 너무 대조적이라서 이혼해 버렸다.

7) 판독
가: 스파이가 판독하지 못 하는 암호를 이용해서 비밀을 보호했다.
나: 의사선생님이 엑스레이를 판독하고 나서 진단하셨다.

8) 승복하다
가: 부모님의 반대에 승복해서 여자 친구를 버렸다.
나: 잘못된 거라고 주장하면서 투표 결과에 승복하고 있지 않다.

9) 기립박수
가: 공연도 별로였는데 왜 기립박수를 치자고 하는 거야?
나: 너무 좋아서 기립박수를 보내고 싶었는데 혼자서 기립박수를 치다가 창피만 당했다.


5과 2항 문법 1

-는/은/ㄴ 탓에

가: 왜 또 학교에 늦은 거니?
나: 차가 늦은 탓에 지각한데 제 탓은 아니에요!

가: 부인은 어디 계세요?
나: 내가 준 선물이 빨간색인 탓에 초록색을 받고 싶었다고 마누라가 교환하러 가게에 갔어.


5과 2항 문법 2

이라도/라도 -을라치면/ㄹ라치면

가: 상담을 잘 받았어요?
나: 상담이라니... 내가 한 말씀이라도 할라치면 좀 기다리라고 하더라고요. 광고를 보는 것 같았단 말이에요.

가: 주말에 시험 공부를 많이 했어?
나: 조금이라도 할라치면 친구들 놀자고 하니 거절할 수가 없었지.

Saturday, July 31, 2010

Thoughts on Tinkering Toward Utopia

Tinkering Toward Utopia
David Tyack and Larry Cuban (1995)

I want to do my big Korean research paper on education in Korea and more specifically the relation between / issue of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In Korea, even "private" schools have a level of government control not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public" schools. It's a bit more complicated, but anyway in Korea private education usually means hagwons, private "academies" that students go to after normal school hours and on weekends. I work at one. It's a lot harder for me to read about education in Korean, so I thought I'd take a look at this English book on education in the US as a sort of background preparation.

I've had the book for a while. Before I came to Korea I worked teaching math in a public high school in New York (Manhattan, Harlem). I was with a program called Math for America and this book was recommended to me, if I recall correctly, by Jon, sort of the head admin, at that time, of New York City MfA operations. Anyway, I could be wrong, but either way I heard of the book a long time ago, got it through paperbookswap.com when I was still in the US, and had been meaning to read it for a long time.

The reason I'm writing this now is not to write a review of the book. It's mostly to process some of my thoughts, more so than even record them. This is a habit from some of my schooling, particularly the Bard Writing and Thinking program, but also more recently prompted by the last book I read in English, How to Live on 24 Hours a Day. Despite the time-management theme, it recommends that one devote time in equal measure to reading and reflection on what has been read. This strikes me as a very good idea, and while I was not able to do so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whole book (HtLo24HaD recommended half reading half thinking in every three hour block, if I recall correctly), I will make up for it in some part by writing something now.

Especially since writing a paper on it during my Master of Arts in Teaching program at Bard, I've been interested in pinning down the ultimate goals of education. At some point the question may be inseparable from the ultimate goal of human life, which is famously difficult to agree on as well, but anyway I read the book with an eye toward seeing what goals people have talked about.

Thinking of my Korean paper, I was also looking for mention of private versus public education and any comparisons or interactions. There really wasn't much on this topic, and for the most part I felt like the authors chose to ignore the existence and importance of private education in the US. Or, maybe I just exaggerate this importance, having myself gone to private schools from kindergarten through high school. Anyway, private schooling was largely ignored in the book.

One notable exception was the "case study" about kindergartens. The first fun thing was finding out that originally "kindergartners" referred to the teachers - which makes sense, if you think of them as gardeners of children. But kindergartens started out as private institutions. Some few were for the rich, I think, but mostly they were outreach things that people would offer for poor kids, something like an early "Head Start" program (this was late 19th century or so, I think). They made it seem like it was sort of a popular community service thing for sophisticated ladies who wanted to help poor kids in the inner city.

But it started as a private thing, but was later absorbed into the public apparatus. It sounded like many most or all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were "bought up" by public school systems, where they evolved and became a regular part of the school sequence. I thought public buy-out thing was interesting, and maybe the only bit of the book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possible future of hagwons in Korea. Could they eventually be bought up by the government somehow? Would the society approve of a public school schedule that has students at school some 12 hours a day?

I guess one of the big questions for my paper is Why are there hagwons in Korea, as there aren't in the US or many other countries, it seems...

The authors seems acceptably fair in their factual portrayals, but there is not doubt in their tone that they identify as progressive, probably constructivist, anti-standardized test, etc. They miss no opportunities to identify groups they disagree with as "elites" and often also note they are white and associated with business. The kinds of multicultural, anti-discriminatory thinking that they seems keen on are things that I tend to agree with myself in large part, but it doesn't seem to help their arguments.

I guess the central example could be that teaching for "excellence" and using tests to measure achievement is somehow racist, because it ignores cultural differences. If this means it isn't fair to make everybody take tests where the right answer is that white people are good and black people are bad, then I agree, that's racist. But if the argument is basically that some cultures value literacy and some don't, therefore it isn't fair to have all students take a reading test, I can't go along with it. If a goal of school is literacy (and here goals are important again, naturally) then every student has to be literate to succeed.

I have been exposed to a lot of stuff about the evils of standardized testing, and I agree in places, but I have yet to see a better way of assessing achievement fairly and to high standards. And the more I teach and live, it seems that achievement hardly ever happens if there is not some fairly objective assessment coming. Projects and papers also motivate work and are important for high-order thinking and all of this, but the problem with papers and projects is that you can do them without knowing anything and without learning anything. You can BS and avoid difficulty if you so choose. The differences in people's projects, presentations, etc. are so huge. Some people take it as an opportunity to learn and learn a lot by doing projects, but some people just don't. And when they're done, it's really hard to judge projects etc. fairly, not to mention efficiently. How can you really decide the difference between a passing project and a failing project? Or does everyone just necessarily pass, even if they've done nothing or next-to-nothing?

In one of the book's case-studies they talked about schools that gave a lot more free time - in one school students had a third of their time at school free for "study hall" (a term not used by the authors) meeting with teachers, working independently, etc. And there was another school from the same project, I think, doing similar things and also using much more student-centered progressive curricula. And the result was that it didn't work very well. The students felt lost and behavior was bad. This meshes very well with my experience.

Ah, another one was The Dalton Plan (or some name like that) in which every student had an individualized study plan, revised and reviewed at month intervals. The pinnacle of what people were just calling individualized instruction at my school, just doing special things for some students; maybe more similar to the individual academic plans for special ed students now. Anyway, they talked in the book about these individual plans, and they sounded really great, and then they got around to the fact that even at the founder's school, the original proponents of this system, the original plan only lasted one year. Why? It did NOT motivate students, and results were bad. Students actually said it was BORING, compared to classroom instruction.

I've just had this thought, and maybe it's been said, maybe I've even heard it before, but it seems to me this could be my quote of the day:

"The problem with constructivist education is that students are not good architects."

If you want to be generous you could say "... not always good architects".

And this kind of idea seems to apply particularly to students that come from homes are not particularly academically-cultured: in the school programs designed by progressive educators who want to help multicultural and/or disadvantaged students, they end further disadvantaged by the lack of guidance.

A big idea from the book is "the grammar of schooling" which they take to mean "the normal way schools in the US are, with different grades, teachers in classrooms, and certain standard credits that students need to graduate high school and go on to college (specifically classes that meet five times a week in math, english, etc.)". They mostly argue that it exists and persists as a social construct, while neglecting what might be another possible explanation: it exists because it works.

Another thing from the book that I identified with is something the authors identified as as one of the downfalls of reforms from the grammar of schooling: that they make way too much work for teachers.

Teachers have an almost impossibly difficult task just going through the day, teaching perhaps 150 students every day. Asking them to add curriculum design work on top of just teaching is draining, and asking them to invent new pedagogy and curricula while collaborating with other teachers in meetings, individualizing instruction to all their students, and still teaching all those students every day... I don't think it's possible. I don't think it's fair. And I'll repeat my conviction after getting my Masters in Teaching, working in a public school in NYC, and working as an English teacher in Korea:

Classroom teaching and curriculum design are two different full-time jobs.

I think to maximize progress in education what is really needed is production of excellent lessons (and the associated materials) that teachers can use and optimize in their classrooms. It would be a standard curriculum, yes, and if there were set lessons for every hour of every day of a student's time in school from the first time they walk into a school building to their high school graduation ceremony, I think it would be a boon. There is quite enough difficulty in the work of teaching without having to come up with what to teach every day.

The other problem with reforms that the authors include is what they call "intramuralism", which I guess they're using to mean insider-ism or exclusion of community interests, parents, etc. They seem to imply that if everybody was on board the reforms could work great (aside from giving teachers way too much work, of course). To me, it seems like they're trying their best to avoid saying the obvious: the reforms did not lead to students learning everything they had to. They were just not effective. If the reforms had worked great, the community would have been on board.

The thing I do really agree with from the book is it's constant insistence that teachers are important and that teachers need to be on board if reforms are going to work. Put differently, reforms only exist in as much as teachers take them into their classroom practice. I think this is key, and I think it's related deeply to the this-reform-is-ten-times-more-work-than-the-old-way issue.

Finally getting to the issue of goals of education: like in most things I see, the issue is mostly ignored. It is mentioned here and their, most commonly alluded to as if "the goals of education" are obvious and understood. The authors criticize test scores as a bad goal of education, but of course test scores are just an intermediary measuring tool and not a goal in themselves. What goal's achievement are they trying to measure? I can see at least three just in tests themselves:

* knowledge ("Do you know who was president in 1892? DO YOU? It's important that you KNOW.")
* cognitive skills ("If I tell you this, can you figure out what the answer must be? CAN YOU? It's important that you CAN.") (Are these skills general ability, or just learned routines, etc., is an interesting question in itself...)
* work ethic ("Did you work hard for years to do well on this test? DID YOU? It's important that you DID/CAN work this hard for a sustained period.")

In the book, they list on page 136 three goals that might be the goals of schooling: intellectual, civic, and social development. Maybe this is a useful categorization? I'm not sure. I want to get out my old paper from grad school.


Other related quotes:
"educational goals are often diffuse"
"little agreement exists among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bout just what effective teaching is and how to measure it"
is it this? "opportunities to discover their vocational aptitudes and interests"
"life adjustment"
"mental training"
"honing intelligence for its own sake"
"preparing students for careers in a complex and interdependent society"

Thursday, July 29, 2010

6급 5과 1항 2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5과 1항 2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29일


5과 1항 문법 1

-는/은/ㄴ 셈치고

가: 죽는 사람을 살리는 셈치고 한 번만 데이트해 주세요!
나: 싫다니까!

가: 친구가 무언가를 가르쳐 줬다면서?
나: 어, 틀린 셈치고 친구의 방법을 해 봤는데 역시 안 된 거야.


5과 1항 문법 2

-으련만/련만

가: 할머니, 만원만...
나: 어이그, 돈이 있으면 주련만 할머니도 우리 강아지에게 줄 돈 한 풍도 없구나.

가: 이번 선거는 누가 이겼죠?
나: 김윤호가 이겼으면 좋았으련만 그 또 다른 놈이 이겼다.



쌤 검사 후:


5과 1항 문법 1

-는/은/ㄴ 셈치고

가: 죽어 가는 사람을 살리는 셈치고 한 번만 데이트해 주세요!
나: 싫다니까!

가: 친구가 무언가를 가르쳐 줬다면서?
나: 어, 틀릴 셈치고 친구의 방법으로 해 봤는데 역시 안 되는 거였어.


5과 1항 문법 2

-으련만/련만

가: 할머니, 만원만...
나: 어이그, 돈이 있으면 주련만 할머니도 우리 강아지에게 줄 돈이 한 푼도 없구나.

가: 이번 선거는 누가 이겼죠?
나: 김윤호가 이겼으면 좋았으련만 또 다른 놈이 이겼다.

Wednesday, July 28, 2010

6급 5과 1항 1 연대 한국어학당 숙제

6급 5과 1항 1
애런 슈마커
2010년 7월 28일


5과 1항 대화

1) 티를 내다
가: 빈 티를 내지 않게 노력했지만 결국 돈이 있는 척하지 못했다.
나: 자신이 없어도 없는 티 내지 마.

2) 초경량
가: 요즘 나오는 스마트폰들은 초경량이 아니지만 기능이 좋아서 날개 돋친 듯이 팔리고 있다.
나: 훈련할 때 초경량 운동화를 신고 하지 말고 무거운 것을 신고 해서 더 강해질 것이오.

3) 강도
가: 단거리 선수는 강도 높은 훈련을 자주 잠깐씩 한단다.
나: 싼 게 비지떡이라고 값이 싸면 실의 강도도 낮을 가능성이 높다.

4) 방지하다
가: 컨닝을 방지하기 위해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쭉 지켜보고 계셨다.
나: 북한 핵무기 발달을 방지해야 된다고 대통령이 말씀했다.

5) 안간힘을 쓰다
가: 이번 경기를 이기려면 우리 팀 선수들이 다 안간힘을 써야겠다.
나: 중간 시험에서 떨어졌는데 안간힘을 쓰면 기말고사를 잘 볼 수도 있겠다.

6) 산물
가: 과학의 산물이 다 무기에 불과하면 왜 화학을 하겠습니까?
나: 이년후에 오바마 대통령의 노력의 산물이 평화와 번영이라고 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7) 빙산의 일각
가: 나도 그 얘기를 들었는데 그건 빙산의 일각일 뿐이거든!
나: 배를 타고 있을 때 빙산의 일각만 볼 수 있으면 사고날 수 있다.

8) 낱낱이
가: 그 사람의 불평들을 낱낱이 듣고 싶지 않는다.
나: 경찰이 사건을 본 사람들을 낱낱이 조사했다.

9) 최적
가: 지금은 최적의 상태가 아니니까 좀 미루면 안 돼요?
나: 최적지를 찾아서 저희 공장이 건설되었습니다.

10) 재현하다
가: 범인을 찾기 위해 경찰이 현장을 재현했다.
나: 이번 주말에 외로우신 노인들이 남북 전쟁 재현을 할 건데 가 볼래?

11) 가상
가: 세계 평화를 강사할 수 있어?
나: 반대 팀 말씀도 일리가 있지만 이런 경우를 가상해 봅시다.
다: 엄마 이 게임은 그냥 가상 공간에서 하는 거잖아, 진짜는 아니야!

12) 제패하다
가: 근래 세상이 달라져서 그런지 한 사람이 전체 문학계를 제패하지 못하게 된 것 같다.
나: 그 사람이 훌륭한 체력에다가 날마다 7시간 훈련하므로 이번 오림픽에서 세계 수영계를 제패했다.

13) 선천적
가: 선천적이냐 후천적이냐에 대해서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나: 나는 선천적인 재능이 있다고 노력을 안 해도 된다고 해서는 실패하는 법이다.

14) 밑바탕
가: 성공하려면 성공의 밑바탕이 노력이라고 믿는다.
나: 이런 생각은 흥미롭지만 밑바탕은 뭔가요?



쌤 검사 후:


5과 1항 대화

1) 티를 내다
가: 빈 티를 내지 않게 노력했지만 결국 돈이 있는 척하지 못했다.
나: 자신이 없어도 없는 티 내지 마.

2) 초경량
가: 요즘 나오는 스마트폰들은 초경량이 아니지만 기능이 좋아서 날개 돋친 듯이 팔리고 있다.
나: 훈련할 때 초경량 운동화를 신고 하지 말고 무거운 것을 신고 해서 더 강해질 것이오.

3) 강도
가: 단거리 선수는 강도 높은 훈련을 자주 잠깐씩 한단다.
나: 싼 게 비지떡이라고 값이 싸면 실의 강도도 낮을 가능성이 높다.

4) 방지하다
가: 컨닝을 방지하기 위해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쭉 지켜보고 계셨다.
나: 북한 핵무기 개발을 방지해야 된다고 대통령이 말씀했다.

5) 안간힘을 쓰다
안간힘을 써서 이겨 보려고 하다~
가: 이번 경기를 이기려면 우리 팀 선수들이 다 안간힘을 써야할 것이다.
나: 중간 시험에서 떨어져서 그 점수를 만회하느라 안간힘을 쓰는 것 같았다.

6) 산물
가: 과학의 산물이 다 무기에 불과하면 왜 과학을 하겠습니까?
나: 이년후에 오바마 대통령의 노력의 산물이 평화와 번영이라고 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7) 빙산의 일각
가: 나도 그 얘기를 들었는데 그건 빙산의 일각일 뿐이거든!
나: 배를 타고 있을 때 빙산의 일각만 보게 되면 사고날 수 있다.

8) 낱낱이
가: 그 사람의 불평들을 낱낱이 듣고 싶지 않는다.
나: 경찰이 사건을 본 사람들을 낱낱이 조사했다.

9) 최적
가: 지금은 최적의 상태가 아니니까 좀 미루면 안 돼요?
나: 최적지를 찾아서 저희 공장이 건설되었습니다.

10) 재현하다
가: 범인을 찾기 위해 경찰이 현장을 재현했다.
나: 이번 주말에 노인들이 남북 전쟁 재현을 할 건데 가 볼래?

11) 가상
가: 세계 평화를 가상할 수 있어? [?]
나: 반대 팀 말씀도 일리가 있지만 이런 경우를 가상해 봅시다.
다: 엄마 이 게임은 그냥 가상 공간에서 하는 거잖아, 진짜는 아니야!

12) 제패하다
가: 근래 세상이 달라져서 그런지 한 사람이 전체 문학계를 제패하지 못하게 된 것 같다.
나: 그 사람이 훌륭한 체력에다가 날마다 7시간 훈련했으므로 이번 올림픽에서 세계 수영계를 제패했다.

13) 선천적
가: 선천적이냐 후천적이냐에 대해서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나: 자신이 선천적인 재능이 있다고 노력을 안 해도 된다고 생각해서는 실패하는 법이다.

14) 밑바탕
가: 성공하려면 성공의 밑바탕이 노력이라고 믿는다.
나: 이런 생각은 흥미롭지만 밑바탕이 뭔가요?